로스트 미디어/목록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1. 개요 [편집]
2. 목록 [편집]
2.1. 애니메이션 [편집]
대부분의 오래된 외국 애니메이션 및 드라마, 영화, 특촬물 더빙 작품들은 상당수가 판권 문제나 여러 복잡한 사정으로 재방송을 하지 않아서 찾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다만 방영 당시 동화책, 그림책, 만화책 등으로 나온 더빙작은 이러한 2차 이식 매체를 통해 대강의 내용이나 현지화 방식을 유추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작품들은 파악이 어렵다.
- 태동기와 황금기에 개봉된 미국 애니메이션 중 일부 작품들
펠릭스 더 캣은 1919년부터 1921년까지 개봉한 단편 중 대부분이 유실되어 극소수 작품만 볼 수 있는 상태이며 오스왈드 래빗의 극초기(1927~1929) 단편들 중 20여 편의 필름들도 행방불명되어 감상이 불가능하다. 황금기에 상영된 단편 애니메이션들의 경우 재상영 판본들은 대부분 존재하지만, 루니 툰 & 톰과 제리 & 디즈니 단편 등의 오리지널 판본들은 극장에서 재상영되면서 타이틀과 일부 장면이 유실된 사례들이 있으며, 필름 보관소의 화재와 (오리지널 판본의) 관리 부실로 인해 사라진 판본들이 많다.
- 몽쉐리CoCo
니혼 테레비 동화에서 만든 로맨스 장르 애니. 1972년 8월부터 3달간 방송되었다. 총 13화. 1990년대 초까지 재방송되었지만 이후 2차 매체 발매가 전무해 현재 찾아볼 수 있는 건 오프닝뿐이다.
- 꼬마 고양이 마오
비앰코리아 비디오에서 나온 노란색 고양이가 나오는 애니메이션이다. 이미지는 존재하지 않았는데, 디시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서 어떤 사람이 이 애니메이션에 대한 게시글을 작성해서 올렸다. 또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비디오 작품이 있었고, 알라딘 쇼핑몰에서 비디오가 판매되어 있었다. 오래 전 옛날에 SBS에서 방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현재는 비디오 테이프의 사진 자료는 발견된 상태이다.
- 날아라 호빵맨 파일럿 애니메이션 일본어 오리지널 판본
- 빼꼼 일부 에피소드
- 데즈카 오사무 어워드
- 세 친구 한국판
- 심술쟁이 청포도 가족 한국판
원판이 1990년대 초반 즈음에 발매되었던 상당히 초창기 에피소드다 보니 방영 당시 한국에서 OVA로 발매되지 않았다. 일본판의 경우 1998년 즈음에 수입되어 OVA를 판매했다.
- 석기소년 또로
어린이동아 사이트 개편으로 인터넷에 업로드된 것을 제외하면 전부 유실되었다.
- 번개기사 대전지옥군단 원판
- Who Killed Captain Alex 원본
토착어 원본은 2010년 정전으로 인해 손실되었고 유튜브에 올라온 영어 더빙+코멘터리가 추가된 영상만 남아 있다.
- 빅 X
전체 분량 중에서 반도 못 미치는 분량의 에피소드(총 22화 분량)만 현존한다.
- 퍼맨(1967~68)
DVD가 발매되었으나 4-A, 17-A, 39-A, 45-B화는 음성이 누락되었고 16-A, 47-A화는 수록되지 않았다.
- 철완 아톰(1963)
139편이 유실되었다. 125, 127편은 유실 중이었다가 2024년 3월 복원되었다.
- 페니 아케이드 '벤치' 이벤트 만화 일부
'페니 아케이드'는 미국의 웹코믹 시리즈이다. 한 때 본 만화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벤치'(The Bench)라는 연재 만화가 업로드된 적이 있으며, 팬들이 한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파생 버전을 만들어 내고 사이트 소유자에게 제출하는 방식으로 연재되었다. 일부 연재분은 타 웹사이트에 보존되어 있으나, 많은 '벤치' 시리즈 이미지는 아카이브 사이트인 웨이백머신에서도 뜨지 않는다.
- 환성신 저스티라이저 일부 에피소드
- 이레자이온 일부 에피소드
- 마하특급 델타트레인 대다수의 에피소드
- 꼬마 자동차 붕붕
KBS1 종영 후 비디오 발매와 EBS 재편성까지 된 바 있으나 넷상에서 찾을 수 있는 에피소드는 1화부터~36화까지 전부이고 이후의 나머지 에피소드들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 꼬마버스 타요 파일럿판 에피소드
2008년경 방영되었던 파일럿판 에피소드들. 제작사가 디자인스톰으로 다르며, 일부 설정 등 역시 본편과는 큰 차이가 있다. 에피소드 전편이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으나 비공개 처리되었다. 현재는 오프닝 영상만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 난다 난다 니얀다
현재 인터넷에는 대만어, 광동어판만 전편이 있고 한국판 및 일본판 에피소드가 일부 누락되어 있다.
- 낚시왕 강바다 대다수의 에피소드
- 내 친구 우비소년 1기 15화
- 1973년 닛폰 테레비판
첫 애니판 도라에몽으로 26부작으로 방영되었으나 공식에서 흑역사 취급을 받아서 현재는 극히 일부 자료만 남아 있고 비공개로 처리되었다. 오프닝과 엔딩 영상은 남아 있고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데 니혼 테레비 동화에서 근무했었던 직원 마사미 준이 회원 한정으로 공개했던 것을 5ch의 유저가 무단 전재했기 때문이다. 인터넷에서 접할 수 있는 마지막회 1부, 2부, 3부는 어떤 일본인이 1973년 방영 당시 오픈 릴 테이프로 녹음한 것이다. 영상은 아니고 소리만 녹음한 것. 한편 대한민국의 어느 네티즌이 2000년대 중반에 네이버 지식iN을 통해 비디오 대여점에서 니혼판 도라에몽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것 같다고 증언했는데 이것이 2020년 한국 도라에몽 팬덤에 파장을 몰고 와 팬들의 해당 네티즌의 협력 하에 해당 녹화분과 녹화분의 소재지를 수소문하기도 했고 악전고투 끝에 소재지 특정에 성공했으나 수색 시점에서 해당 대여점은 이미 폐업했고 녹화분은 모두 판매, 폐기 처분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아쉬움을 남겼다. 당시 타임라인 - 도라에몽 대원방송판 1기 49화
구 도라에몽으로, 해당 회차들을 제외한 다른 회차들은 남아있는 반면, 해당 회차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소실되었다. - 도라에몽 켄짱의 모험
1981년 세계 장애인의 날 기념 캠페인용 특별 단편 애니로 사회복지법인 전국심신장애아복지재단이 제작했으며 도라에몽의 등장인물들과 지체장애인 켄짱과의 교류를 다루는 내용이다. 일본 각지의 학교, 공민관과 TV 아사히에서 틀었고 이후 각지에서 틀어줬는데 마지막으로 상영된 게 2002년이다. 재방송 및 VHS/DVD화가 한 번도 되지 않았고 《교통안전이야! 도라에몽》과 다르게 인터넷에도 올라오지 않아서 현재는 볼 길이 없다. 다만 2024년 2월 경 한 비디오테이프 수집광이 자신의 트위터에 TV 아사히 방영 당시 녹화본을 샘플로 올려 일부분이라도 볼 수 있게 되었다.#
- 라바 파일럿판
- 딕 브루너 비디오
한국판은 현재 아쉽게도 '바닷가의 미피', '보리스의 겨울 채비', '아기고양이 넬리', '빨간 모자', '미피가 왜 울까요', '배고픈 물고기', '로티, 화이팅!', '보리스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백설 공주'만 공개되어 있다.
- 라라의 스타일기 2기 3~10화
저작권 문제로 소실이 불가피했다는 듯.
- 라즈베리 타임즈
총 52화 분량의 작품이지만 인터넷에서 한국판은 25화까지만 남아 있고 일본판은 2~24화가 누락돼있다. 절반이나 되는 분량을 찾을 수 없는 셈.
- 로켓보이 한국판 18화, 51화 영국판 4화 이후 분량 유실
총 52화 분량의 작품이지만 인터넷에서 한국판은 18화랑 51화가 유실되어있고 영국판은 4화 이후 에피소드가 누락돼있다. 90%이나 되는 분량을 찾을 수 없는 셈.
- 마일로의 대모험
2000년 KBS 미디어가 비디오 테이프로 낸 적이 있지만 2021년까지는 넷상에 남아 있는 영상이 오프닝과 엔딩 외에는 하나도 없었고 한국영상자료원에서도 베타캠 녹화본이 보존돼 있으나 영구보존을 위해 열람불가 상태다. 그러다가 2022년 한국영상자료원이 네이버 채널과 유튜브를 통해 고전 애니메이션 복원 작업의 일환으로 1화부터 12화까지를 공개했다. 그것도 상당한 고화질인데 네이버 ETECH Ai SR 기술로 고해상도 복원되었다고 한다.
- 방귀대장 뿡뿡이 초기 방영분(2000년 3월~2006년 8월)
그래도 일부 방영분과 비디오판은 찾을 수 있다.
- 별나라 요정 코미 한국판 39~43화
이 에피소드들은 비디오나 DVD로도 출시되지 않았다. 이마저도 KBS가 원본을 제대로 남기지 않아서 그런지 7세 관람가 표시와 우측 하단의 타이틀 자막이 그대로 나오며 KBS 로고는 판매 업체의 로고를 덧씌워서 발매하였다. 게다가 DVD의 경우는 아예 1~10화까지밖에 없다.
- 뽀팝TV 초기, 중기 일부, 후기 일부 영상들
주인장의 채널 판매[7]로 인해 현재 공식적인 루트로는 네이버 TV 뽀팝TV 애니 채널과 네이버 TV 뽀팝TV 채널에 업로드된 중기 영상 일부, 후기 영상 일부만 볼 수 있으며 과거에는 여러 불펌 영상들이 많이 돌아다녀 그다지 심각한 정도는 아니었으나 불펌 영상들이 업로드된 채널들이 삭제되고 있어 특히 초기 영상들은 대부분이 유실되었다.
- 빌리 일부 에피소드
- 스위트 프리큐어♪ 일부 에피소드
- 아이언키드 일부 에피소드
- 아쿠 돈파 이야기 3화~52화
- 오인용 2002~2004년 플래시 애니메이션들 중 극히 일부
2005년 홈페이지 개편으로 삭제돼서 소수의 작품들은 현재 구하기 힘든 레어작들이다. 그 중 《백건J》는 멤버인 장석조의 유튜브 채널에 올려진 바 있으나 몇 년 뒤 내려갔고 그나마 2022년 1월에 족구왕 똥배 일부 에피소드가 발굴되어 그나마 희망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2023년 3월, 그 업로더에 의해 작품 대부분을 발굴에 성공했다는 글을 올렸다. 다만 여러 가지 문제 등으로 인해 업로드는 보류 중이었으나 2024년 3월에 마침내 업로드되었다.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35, 41화
- 유치커 상당수 에피소드
만화가 그려진 지 워낙 오래된 데다 원작자 푸스터이 팔(Pusztai Pál)이 사망한 후 연재가 중단되어 많은 에피소드들이 사라졌다. 그나마 남아 있는 것들은 신문 스캔본들.
-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여러 사정으로 인해 작품이 완전히 완성되지 못한 채 개봉되었다.
- 루씨씨 기우기
애니메이션 관련 서적이 있지만 이마저도 1980~90년대에 발매해서 구하기 어렵다.
- 치치호 순양함 구판
- 핀치와 펀치
군복을 입은 핀치 & 펀치 쌍둥이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 그림만 있다.
- 고고원더 자연탐험대 원더쿵
아트플러스 엠이 제작해 과거 IPTV로 통해 공개되었던 애니메이션. 상상친구 꾸메푸메의 소개 사이트와 유튜브에 올라온 소수의 영상밖에 남아 있지 않는데 영상의 전체적인 색감이 쿵야쿵야 등의 2000년대 중후반 애니메이션과 비슷하며 오프닝에 사용된 3D 모델링의 전체적인 느낌으로 보아 최소 2000년대 중후반에 제작되었던 것으로 유추 가능하다.
- 악동이 스페셜
애니메이션판으로 대략 2009~2011년 방영되었다. 판도라TV에 업로드되어 있었으나 2021년 초부터 영상이 삭제되어 볼 수 없으며 시리즈화에 실패한 파일럿판인 데다가 비디오 미발매, VOD 스트리밍도 따로 없다.
- 피그마리오 애니메이션판
작가 와다 신지(和田慎二)가 작품의 완성도에 실망해 작품을 봉인했다.
- 줄무늬 호랑이 시마지로 2003년 이전 에피소드
1 ~ 54화까지 VHS로 발매되었으나 그 이후 에피소드는 발매된적이 없고 온라인으로 공개된 적도 없다.
2.1.1. 일부 구 한국 애니메이션 [편집]
타 국가와 합작한 경우도 있는가 하면 외국판만 볼 수 있고 한국판으로는 볼 수 없는 것도 포함된다. 대부분은 오프닝 및 엔딩은 인터넷에 널려 있고 방송사나 애니메이션 제작사 내에서 당시 방송 자료 자체는 보존되어 있지만 방송사 측이 사이트 개편으로 영상들을 전부 내리거나 이런저런 이유[8]로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쪽에 가깝다. 그 중 몇 가지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방영된 지 그다지 오래되지 않은 애니메이션도 금방 유실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꼬마기차 추추
- 꼬잉꼬잉 이솝극장
교육용 명작 애니메이션으로 일부 회차들이 소실되어 있다. - 네티비
- 내 친구 다이고로
- 달려라 호돌이
1988 서울 올림픽을 기념으로 제작된 호돌이를 주인공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올림픽 마스코트의 경우 대회가 폐막하면 저작권이 IOC에게 영구적으로 귀속되기 때문에 상업적 이용이 힘들다. 투니버스의 <한국 애니메이션 40년사> 등에서 자료 화면으로 보여준 일부 영상들과 소리만 있는 주제가가 있다. - 두근두근 비밀친구 한국판 일부
다만 유튜브에 일부 클립이 가끔 올라오는 것을 보아 아예 없어지진 않은 듯하며 전술했듯이 자료 자체는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영상을 구하기 힘들거나 다시 볼 수 없는 것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네이버 블로그에 더빙판 후반부 회차가 남아 있다. 전편 회차가 있긴 있으나 저작권 문제로 초반부는 싹 다 갈려나갔다는 게 문제. 현재는 VOD버전 영상 전회차가 웹하드에 조금씩 돌아다니고 있다. - 로봇알포의 파일럿판
한컴타자연습 2010의 로봇 알포가 이 파일럿 버전을 쓴 것이며 이상하게도 현재 버전은 존재하지만 이 파일럿 버전은 프랑스에서 방영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구글링을 아무리 해도 나오질 않는다.[10] 디자인만 제작하고 파일럿 버전은 방송하지 않았다는 말도 있으나 사실은 불명. - 바다소년 오대양
- 별나라 수퍼 쭈리
1~13화 까진 실존하나 애니 후반부인 14~26화가 전해지지 않는다. - 볼트에이지 TVA
김연서 원작 만화, 볼트에이지를 기반으로 2005년에 스튜디오 291에서 이상복 대표와 정재호 프로듀서가 제작한 국산 성인 에니메이션. XTM을 비롯한 케이블 TV에서 2000년대 초중반 방영했으며 OVA로도 출시했다고 한다. 현재는 원작가 블로그에 스크린샷 몇 장만 남겨진 채 사라졌다고 한다. - 사오마을 대소동
- 싸커보이 토토
- 스캔2고 한국판 일부
- 열대펭귄 페닝 TVA
플래시판은 전부 남아 있지만 TVA판은 영어 더빙판 8화를 제외하면 남아 있지 않다. - 우정의 그라운드
- 재동아 학교가자
방영 당시 KBS 홈페이지에서도 VOD 서비스를 했으나 2018년 이후 홈페이지 개편으로 전부 내려갔고, 그런고로 2차 매체와 몇 개의 동영상, 스크린샷을 제외하고 남은 자료가 희박하며 대부분의 에피소드 영상은 소실되었다. 특히 17~26화는 '2차 매체에서도 일절 수록되지 않은 상태며 에피소드 영상은 한 에피소드 외에는 남아 있지 않다. - 쥬라기 원시전. 다만 최근에 러시아어 더빙본이 전편 유튜브에 올라와있다.
- 초롱이의 옛날여행 일부 분량
2.1.2. 더빙판만 유실 [편집]
원본 언어로는 존재하나, 더빙판 일부 혹은 전체가 유실된 경우. 로스트 미디어 더빙 애니 빙산 원어로는 존재하나 더빙판만 로미인 경우는 반드시 이 목차에만 기재할 것.
- 고질라(1998년 애니메이션) 한국어 더빙판. KBS에서 전편방영했지만 지금은 찾아볼수없다.
- 단종된 미라지 엔터테인먼트 자체 더빙작
미라지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일본 애니메이션에는 한국어 더빙이 들어가기도 하는데 이는 블루레이만의 특별한 요소이기 때문에 단종되면 영원히 접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4월은 너의 거짓말은 사실상 마지막 재발매판인 파이널 에디션까지 완벽하게 단종됐기 때문에 아마 다시는 발매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 짱구는 못말려 일부 한국 더빙 - 짱구는 못말려/해외 공개/대한민국 로스트 미디어 문단 참조.
- 개구리와 친구들
막스 벨튀이스의 동화를 애니메이션으로 재연한 작품이다. 한국에서도 한때 EBS에서 방영했으나 한국 더빙판 자료가 없어서 한국에서는 볼 수 없다. 대신 유튜브에서 공식 채널에서 영어, 네덜란드 더빙판 등만 볼 수 있다. - 그래비티 폴즈 구 더빙판
한국에서 '디퍼와 메이블의 미스터리 모험'으로 방영했는데 시즌 2 13화 이후 갑작스런 편성표 개편으로 나머지 에피소드들이 더빙으로 방영되지도 못하고 편성에서 아예 사라지면서 조기종영되었다. 이후 재더빙으로 유실화는 모면했고 재더빙판의 경우 대사 번역[11]이나 성우의 연기가 구 더빙판보다 좋아지긴 했지만 구 더빙판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성우 교체와 성의 없는 로컬라이징으로 원작에 몰입하는 데 방해가 되었기에 이를 흑역사로 여긴다. 다만 2021년 8월 한국 디즈니채널이 폐국됨에 따라 재더빙판 클립이나 관련 영상들이 전부 비공개 처리되거나 삭제되었고 구·재더빙판 자료가 상당수 남아 있을 뿐, 구 더빙판 중에서는 시즌 1이 멀쩡하게도 통째로 남아있지만[12] 시즌 2의 경우 5, 6화와 9~13화가 유실된 상태이다. 디즈니+에서는 한때 시즌 2만 구 더빙판으로 업로드되었으나 지금은 전부 재더빙판으로 교체되었다. - 노란 토끼 버니 더빙판
- 동물농장(1954) 한국어 더빙 방영본
동물농장(1954)은 영국의 언론인이자 작가인 조지 오웰의 소설 동물농장을 애니화한 작품이다. KBS2에서 추석 특집 방송으로 1990년 10월 1일 오후 12시 10분에 편성하여 더빙으로 방영하였으나 당시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의 방송으로 시청자들이 몰렸기 때문에 실제로 시청한 사람은 매우 적다. 해당 방영분의 녹화본은 인터넷에 올라와 있지 않으며 성우진도 알려지지 않았다. - 심슨 가족의 EBS 더빙판 일부 에피소드
한동안 판도라TV 같은 동영상 사이트 내지 포털 사이트 블로그 등지에 널렸지만 사이트 측의 무차별적 저작권 단속, 업로더의 활동 중단 및 탈퇴 등으로 깡그리 지워졌으나, 인터넷 아카이브에 상당수의 에피소드가 모였다가 2024년에 저작권 문제로 삭제된 이후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서 배포되고 있다. - 야채극장 베지테일의 원판을 제외한 거의 모든 더빙판
한국판 오프닝이 찍힌 어느 유튜브 영상에 해외 유저들이 단 자료가 더 있냐고 물어보는 댓글이 존재한다. 일단 한국판 1작 극장판은 일부 전재본이 있어 로스트 미디어는 면했다. - 우당탕탕 잉양요 더빙판
- 워터십 다운의 토끼들(1978) 극장판의 EBS 더빙
DVD로 정발이 되었었으나 저조한 판매량으로 인하여 금방 절판되었고 그래서인지 시중에 한국어 더빙 수록 DVD는 중고 물량도 없으며, 인터넷에 영상이 올라와 있지도 않다. 성우진도 알 수 없다. - 조롱박형제 한국 더빙판(호호형제)
해적판인지 정발판인지는 불명이나 상하이 애니메이션 필름 스튜디오 작 애니메이션 중 얼마 안 되는 한국 더빙 작품이다. - 파워레인저 지오를 제외한 미국 파워레인저 시리즈 더빙판
앞서 서술한 지오의 경우는 1999년에 VHS로 발매해 웹하드 등지에 널렸으나 이외의 다른 모든 작품들은 파워레인저 인 스페이스를 제외하면 어떠한 매체로 발매되지 않아 아주 극소수의 클립을 제외한 오프닝·엔딩 등만 들어 볼 수 있다. 현재 더빙판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파워레인저 지오의 OP·ED는 2013년까지 음원·파일이 남아있지 않았지만 한 용자가 당시 작곡자에게 연락을 취해 자료를 받은 덕분에 복구에 성공할 수 있었다. 파워레인저 라이트스피드 레스큐는 로스트 갤럭시와의 콜라보 에피소드의 일부만이 남아있고 파워레인저 와일드포스도 일부만이 남아있다.[13] - 코드 료코(Code Lyoko) 한국어 더빙판
2003년에 방영된 프랑스의 SF 애니메이션으로, 영어 더빙판은 2004년 카툰네트워크에 방영되었고 한국에서는 애니맥스에서 더빙 방영되었다. 일단 프랑스어 원본과 영어 더빙은 유튜브에서 검색해보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플래쉬 앤 대쉬 더빙판
- 아쿠아키즈 더빙판
- 요정 크리스타 더빙판
- 채채퐁 김치퐁 더빙판
아랍어 더빙판 일부만 남아있다.
- 키테레츠 대백과 애니메이션 더빙판
일본판은 인터넷 검색만 하더라도 VOD로 시청이 가능하다. 반대로 한국의 경우 대원방송사에서 했던 VOD는 구입해 시청 가능하긴하나...[14] 2010년에서 2014년까지 방영하던 카툰네트워크 더빙판은 어둠의 경로[15]아닌 이상 시청이 힘들어지고 말았다. 또 일본판은 더빙되어 있으나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안된 회차 272화가 존재하는데 권총 관련된 폭력적인 에피소드[16]인지라 카툰네트워크, 대원방송에서도 더빙을 하지 않았다.[17]
- 쿵야쿵야 대만 중국어판
- 쾌걸 조로 일본어판
해외와 공동 제작한 작품이라 저작권이 꼬여 첫 방송 이후 재방송과 매체 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어판은 일부 에피소드와 오프닝 영상만 남기고 유실되었으며 이 작품의 전편을 볼 수 있는 건 영어 더빙 밖에 없다.
- 3-2-1 펭귄즈!의 모든 해외 언어 더빙판
- 동글동글 해롱이
한국 더빙판 9화를 제외한 모든 에피소드, 원판 81~104화
- 동키콩 애니메이션 더빙판
- 두근두근 비밀친구 한국판 5~23화
- 드래곤볼 Z 투니버스 더빙판 일부 에피소드
- 드래곤볼 GT 투니버스 더빙판 29~32화
- 명탐정 코난 2기 스페셜 복수의 연쇄살인사건 더빙판
2기 방영을 끝낸 이후 2004년 12월 25일 '나니와의 연속 살인사건' 에피소드를 흉기 등의 문제로 인해 12세 시청가의 TV스페셜로 편성하여 '복수의 연쇄 살인 사건'이라는 제목으로 별도 방영하였다. 인터넷에 남아 있는 기록에 의하면 최소 2014년까지는 더빙판을 볼 수 있었으나 현재는 그 존재를 알 수 없다. 저작권 단속으로 인해 남아 있는 게 전부 내려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애니맥스에서 명탐정 코난 2기 더빙판을 재방영했을 때도 이 에피소드는 방영하지 않았다. 아마 당시 유명한의 성우를 맡았던 사람이 박조호였는데, 방영 이후 이 사람이 폭력 사건으로 제명된 흑역사가 있어서 방영을 하지 못한 듯하다.
- 합체용사 플러스터 더빙판 36~50화
원래는 36화를 제외한 37~40화도 판도라 TV에 남아있었으나 삭제되었다.
- 별의커비 애니메이션 더빙판 9~52화
- 블리치 1~2기 투니버스, 3기 애니맥스 더빙판 일부 에피소드
2010년대 중반까지 판도라TV, 클럽박스, 네이버 블로그 등 웹하드에서 모두 돌아다녔으나 현재는 삭제되어서 볼 수 없다. 그나마 1기와 3기는 몇몇을 제외하고 다 남아 있으나 2기는 그마저도 에피소드가 적다. 천년혈전 편의 경우엔 제이박스와 시리즈온에서 VOD가 서비스됐기에 예외.
- 빠뿌야 놀자 더빙판 일부
영어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한일 합작 애니메이션이지만 한국판은 22화까지가 전부고 나머지 에피소드는 찾아볼 수 없다.
- 뾰로롱 꼬마마녀 KBS 더빙판 일부 에피소드
첫 방영 이후 재방송을 전혀 하지 않은 탓에 많은 에피소드가 누락됐다. 그나마 1화부터 16화까지는 올라와 있어서 보는 것이 가능하지만 나머지 방영분은 굉장히 보기가 힘들다. 비디오로 발매가 되긴 됐으나 밑의 리리카 SOS 비디오 발매판보다 훨씬 찾기 힘들다. 다만 가끔씩 유튜브라던가 몇몇 사이트에 드물지만 찾아보면 몇몇 화가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방송 전 광고, ID까지 다 녹화한 자료다. 마지막화는 한때 방영을 '했다, 안 했다'는 의견으로 갈린 적도 있었으나 이는 방영했다는 증언과 사진이 올라와 있으며 신문에서만 누락됐을 가능성이 높다.
- 스위트 프리큐어 더빙판 최종화
- 완다가 간다 시즌 1 20, 21화 한국 더빙판
한국에서 시즌 1 VOD가 출시되었을 당시에는 19화까지만 방영되었던 터라 나머지 두 에피소드는 누락되어 출시되었다. 또 두 에피소드는 시즌 2와 같이 방영되었는데 재방송도 따로 하지 않았고 녹화 자료도 존재하지 않아 두 에피소드의 한국 더빙판은 아예 구할 수 없는 상태다.
- 요술공주 밍키(1982) KBS 2TV 더빙판 1~14, 16~17, 46화
15, 18~45, 47~52화는 케이블TV 재방영분을 녹화한 영상이 인터넷을 통해 공개, 46화는 중요한 장면만 공개된 상황[19]이며, 이외 회차는 조선일보 편성표를 통해 부제명이 포함된 상태로 방영되었다는 내용말고는 전무하다. 또한 52화까지만 방영하고 종영되었기에 그 이후는 정식 방영되지 않았다.
- 요술공주 밍키(1991) SBS 더빙판 일부
2004년 JEI 재능TV 방영당시 총 화수가 47화로 등록되어 있으며, 31~34화는 올림피아비디오프로덕션에서 발매한 '내사랑 뉴밍키' VHS판을 녹화하여 인터넷에 공개된 것 말고는 없다. 같은 회사에서 발매한 슈퍼헤로인 밍키 92도 있지만 이는 초반 회차를 자체 더빙하여 발매한 적이 있다.
- 용자지령 다그온 더빙판 38화 '부활의 하얀 날개'
- 용자왕 가오가이가 더빙판 21화 '금빛의 파괴신'
- 달려라 이다텐 더빙판 대다수 에피소드
- 시끌별 녀석들 영어 더빙판
1980년대 영국에서 'Lum the invader girl'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지만 대부분의 에피소드가 유실되었고 그나마 1~2화는 VHS로 촬영되거나 오디오로 녹음된 것만 남아있다. 몇몇 현지화된 장면들이 찍힌 것도 있으나 1, 2화에만 한정된다.
- 울트라 세븐 영어 더빙판(하와이 지역방송국에서 방송된 버전)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 일부를 제외하면 흔적을 찾을 수 없다.
- 태양소년 에스테반 일본판 최초 더빙판
방송국과 제작사 양측에서 필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1982년 방영된 최초의 더빙이 유실되었다. 나중에 재방송 및 영상 매체 판매를 위해 다른 나라에 수출했던 필름을 공수해 재더빙했으나 원조 더빙은 다시는 볼 수 없다.
- 환상게임 투니버스판 41-43화
- 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 한국어판 36화
36화만은 완전 보존된 자료가 존재하지 않고 일부 보존된 에피소드만 존재한다.
- 틴 타이탄 한국어 더빙판 대다수 에피소드
- 떴다! 럭키맨 더빙판 40화, 마지막화
- 전설의 총사 아스타 더빙판 37~39회
- ASTRO BOY 철완 아톰 더빙판 25~50화
- 천재소년 지미 뉴트론 더빙판 3기 15화
마술 대소동(Vanishing Act)만 현재 남아 있지 않다. 반면 행복한 쇼 쇼(One of us)는 남아 있다.
- 츠바사 크로니클 투니버스 더빙 15화
이 애니메이션의 경우 판도라TV에서 약 3~4화 분량의 에피가 남아 있었고 어느 한 네이버 블로그에서 15화가 초반 약 8분 분량 밖에 없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더빙판 에피를 저화질로 보유하고 있어 전체가 유실된 로스트 미디어는 면한 사례다. 하지만 현재는 15화 전체 자료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행방을 알 수 없고 그 외 자료만 HD 일본판 화면을 덧씌운 25화 분량의 자료들이 어느 한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되어 있으며 안타깝게도 HD 더빙판으로 15화 전체를 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게 됐다.
-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 한국판 더빙 25화(원판 17화)
KBS에서 정규 편성 이전엔 25화로 방영해 줬으나 어째선지 정규 편성에선 누락되었으며 더빙판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한국에서 48화 전체를 재방영해 주지 않는 한 한국 더빙판으론 볼 방법이 없다. 굳이 방법을 찾자면 원판 17화 영상에 성우 지망생 등 개개인이 직접 더빙한 소리를 입혀서 만들어 올리는 것 외엔 방법이 없다. 게다가 이마저도 대사가 더빙판 대사와 완전히 일치할 순 없을 테니 완벽한 더빙판을 보려면 결국 재방영 말곤 방법이 없다.
- 키코리키 최초 영어 더빙판 일부
2008년에 4Kids Entertainment에서 수입하여 "고고리키(GoGoRiki)"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문화 및 정서가 있는 에피소드를 제외한 에피소드 92편을 방영한 후 영상 매체를 발매하지 않아 한동한 유실 상태였다가 2020년에 대다수의 에피소드가 발견되어 유실은 면했지만 나머지 16편 분량의 에피소드는 아직도 행방불명 상태다.
- 갓슈벨 더빙판 92화
- 꾸러기 수비대 더빙판 15화, 29화
- 울트라맨 다이나 더빙판 대다수 에피소드
- 건 스미스 캣츠 OVA
오랫동안 자료가 소실된 상태였다가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 녹화본이 배포되었다. 하지만 마지막 화인 3화는 자료 손상 때문인지 후반부가 잘려있기에 완전한 3화는 여전히 로스트 미디어인 상태다. - 굳세어라 금동아
재능TV에서 방영하고 VOD까지 냈지만 몇 년 못 가 판권이 만료되었다. 넷상에 오프닝, 클립영상 2개만 존재하고 있다. - 2002년 MBC 도라에몽 극장판: 진구의 공룡: 개인 녹화본조차 업로드 미비.
- 데블파이터 마지막화: 별도 문서에서 자세히 설명하듯 마지막화 안내를 잘못 송출하는 희대의 방송 사고와 보관하던 음성 테이프가 손상되는 사고로 재방송조차 실현되지 못한 작품이다.
- 롤러왕 파워킹 SBS 더빙판
- 록맨 에그제 3화,[20] 12화, 13화, 17화, 20화~22화, 29화~49화, 53화~56화, 록맨 에그제 엑세스, 록맨 에그제 스트림, 록맨 에그제 Beast 4화, 5화, 록맨 에그제 Beast+ 15화, 16화
록맨 에그제 스트림은 현재 오프닝판만 블로그에 남아 있으며 록맨 에그제 Beast 시리즈는 한때 판도라TV에서 업로드된 적이 있으나 이후에는 삭제되어 있다. - 무카무카 파라다이스
현재 남아 있는 더빙판의 흔적은 광고정보센터에 올라온 예고편과 오프닝, 애니뮤직 클립밖에 없으며 오프닝/엔딩 영상은 비디오 수집광 아이리스와 탁상이 각각 올린 바 있으나, 탁상의 것은 2018년 블로그 리셋 후 삭제된 상태다. 그래도 2021년 들어 비디오로 발매된 중간 회차까지의 영상이 네이버 블로그에 남아 있다. - 미미의 컴퓨터 여행
유튜브에선 오프닝 영상밖에 찾을 수 없고 그나마도 더빙판이 아닌 일본판만 있다.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KBS2판
2006년경 이후 UCC 시대의 도래에 따라 각종 동영상 사이트, 포털사이트, 웹하드 등지에 널리고 널렸으나 2010년대 후반 ~ 2020년대 초반 이후 사이트 측의 무차별적 저작권 단속, 업로더의 활동 중단, 사이트 폐쇄 등으로 점차 내려가고 있다. 2020년 12월 30일 스트리밍 사이트인 라프텔에서 KBS판을 독점적으로 공개하면서 2021년 10월 10일을 기점으로 KBS판 전 화가 수록되었다가 판권만료로 더이상 시청이 불가능하다. - 뷰티풀 죠 애니메이션
- 아키라 1991년 더빙판 "폭풍소년"
- 요괴인간 벰 5화, 19~26화 (2006)
2020년 초반까지는 판도라에 18화까지 있었으나 저작권 때문에 전부 삭제됨.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3~4기
방송권이 SBS에서 대원방송으로 넘어가 2006년에 첫 방송 더빙을 했으나 2011년 이후 판권 만료로 방영이 종료되었다. 1~2기는 SBS 판권으로 더빙이 남아 있으며, 한때 애니원 공식 유튜브에 720p로 업로드된 적 있으나 현재는 삭제되었다. 다만 한 유저가 자신의 블로그에 유희왕의 모든 시리즈의 더빙판 전편을 올려놓은 적 있었으나[25], 해당 블로그가 저작권 신고로 삭제되었고 현재는 1~2기도 더빙판은 공식 루트로 올라와 있지 않아 볼 방법이 딱히 없다. - 유희왕 GX 더빙 일부
위의 작품과 동일. - 악동클럽(원제 Rocket Power) EBS판
- 정글북: 소년 모글리 더빙판 대다수
닛폰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정글북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KBS에서 정글북이라는 제목으로 더빙하여 세 차례 방영하였고 삼성물산에서 '드림박스' 브랜드로 비디오테이프를 발매한 적이 있다. 그러나 현재는 12화까지만 찾을 수 있다. - 제비뽑기 언밸런스 OVA 애니맥스 더빙판
- 투니버스 재채기 대마왕 TVA 1969년판 더빙판
- 전설의 마법 쿠루쿠루 극장판 더빙판
- 천방지축 아리짱
- 초 소년탐정단 NEO
VOD로 서비스한 적이 있으나 현재는 판권 기간이 만료되었기에 볼 수 없다. - 초속변형 자이로젯터
한때 네이버 블로그의 어느 유저가 투니버스판을 올린 적 있었으나 2024년 5월 기준으로 삭제되었다. 저작권자에 의해 삭제된 걸로 추정되며, 현재 남아있는 건 OP뿐이다. - 쿵후소년 스컹크 푸 / 쿵후 스컹크
- 무지개 요정 큐티하니 현재 더빙판 일부 에피소드가 발견되긴 했지만 포털사이트에 올라온 엔딩영상은 페이드 아웃이 발생한 영상 뿐이다.
- 타임보칸 24 카툰네트워크 코리아 더빙판
- 격투! 크러시기어 TURBO
33화로 조기종영되었고 재방영도 되지 않아 오프닝 외에는 자료가 남아 있지 않다. - 탐험 드리랜드 1기 일부 에피소드 및 2기, 3기 더빙판
2013년 4월부터 투니버스에서 1기를 더빙으로 방영하였으며 꽤나 좋은 더빙 퀄리티를 보여주었으나 편성이 최악이어서 별다른 인지도를 얻지 못했다. 이후 2014년 5월부터 카툰네트워크와 애니맥스에서 1기를 재방영해주었고 2기를 2014년 11월에 대교어린이TV에서 방영해주고 2기에서 방영되지 못한 나머지 에피소드들을 전부 3기로 방영해주었으나 더빙판 영상들은 네이버 블로그와 유튜브에서 클립 영상과 오프닝, 엔딩곡을 제외하면 찾을 수가 없다. 다만 1기는 인터넷에 일부 에피소드를 제외하면 대부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대교어린이TV에서 방영한 2기와 3기 더빙판은 자료가 없다. 한때 라프텔에서 전 에피소드의 다시보기를 지원했지만 현재는 판권 만료로 시청이 불가능하다. - 투니버스 방영 드래곤볼 오리지널 구극장판
- 트랜스포머 사이버버스 판권 만료로 VOD 서비스가 모두 내려갔고 시즌 3은 당시 니켈로디언 코리아의 문제 탓인지 쿠팡 플레이 외엔 VOD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았다.
- 퉁가리
일본 원제 '오라아 구즈라 다도'. 1967년 작품으로 굉장히 오래된 작품이나 90년도 초반 쯤 드림박스에서 더빙판으로 출시 했다. 현재는 아는 사람도 거의 없어서 더빙판은 찾는 게 사실상 불가능이다. 다만 일본판 원작 몇 화는 유튜브에서 찾을 수 있다. - 포춘독
- 1970~80년대 더빙되어 TV로 방영된 일본 애니메이션 대다수
그나마 비디오로 발매된 작품이나 비디오로 더빙된 작품들은 찾는 게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지상파로 방영된 작품들은 자료를 찾기 힘들다. 그나마 오프닝 영상이라던가 몇몇 음원으로 나오거나 주제가처럼 보관된 음악 자료를 들을 수 있는 정도.
- 드래곤볼 TV 스페셜
The History of Trunks 더빙판
- 탑블레이드 더 무비 더빙판
개봉 이후 더빙판은 VOD 서비스 및 DVD 등 어떠한 매체로도 발매되지 않아 넷상엔 예고편밖에 남지 않았고, 한국영상자료원 파주보존센터에 네거티브본이 남아 있긴 하나 상영이 불가능하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애니메이션 시리즈 한국 더빙판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출동! 포켓몬 구조대 간바루즈
한국 방영 제목은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출동 포켓몬 구조대 파이팅즈! 포켓몬 코리아의 VOD 서비스와 TV 방영이 중단된 이후에도 더빙판 풀버전 영상이 몇몇 사이트에 업로드 되어 돌아다녔으나 어느 순간 모든 사이트의 영상이 내려가 현재는 어느 곳에서도 풀영상을 볼 수 없다. 남아 있는 자료는 챔프티비의 프로그램 목록과[32] 주연인 꼬부기 역할을 맡은 유지원 성우의 블로그에 업로드된 1분짜리 클립 2개가 전부다.
- 해피해피 클로버 더빙판
2.2. 방송물 [편집]
- Winchell-Mahoney Time
폴 윈첼이 제작한 TV 쇼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TV 쇼로 1965년부터 1968년까지 방영되었다. 방송 이후 판권사 메트로미디어와 윈첼 간의 협상 과정이 원만해지지 않아 메트로미디어가 방송자료를 파기하겠다고 경고하였고 윈첼이 (메트로미디어의) 제안에 동의하지 않자 진짜로 이들 자료를 파기시키기에 이른다. 이런 결과에 분노한 윈첼이 메트로미디어에 소송을 제기해 테이프(방송자료)의 가치 소실로 메트로미다어에서 3만 달러+징벌적 손해배상 8만 달러를 윈첼에게 지급해야 한단 판결이 나오면서 승소하였다. 이에 메트로미디어가 연방 대법원까지 항소하기도 했지만 판결은 번복되지 않았다.
- 컴백전쟁: 퀸덤
컴백전쟁 시리즈의 첫 프로그램으로 방송 후 무대 영상 조회수가 1000만을 기록하는 등 높은 조회수와 화제성을 유지했으나 출연자였던 (여자)아이들 前 멤버 수진의 학교폭력 가해 논란, AOA 전 멤버 신지민의 AOA 지민 권민아 괴롭힘 논란, 마약 밀수 혐의로 논란이 되었던 박봄의 출연 여파인지 TVING을 비롯한 모든 플랫폼에서 다시보기가 중단되었다. 다만 일부 클립 영상은 Mnet K-POP 유튜브 채널에 남아 있다.
- 옛날 바둑TV 방송 프로그램들 다수
2021년 11월 즈음에 실전사활 365일, 기적의 묘수, 월간 이 한 수 등을 비롯한 상당한 양의 바둑 프로그램이 올라와있던 바둑TV 유튜브 채널이 KB국민은행 바둑리그 채널로 바뀌면서 기존에 있던 모든 자료를 비공개 처리해버려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따로 유튜브 영상을 다운받아 보관하던 사람들이 아닌 이상에야 더 이상 볼 방법이 없다. 바둑TV 홈페이지에도 2000년대까지만 해도 이 당시의 자료들이 업로드되었지만 홈페이지 개편으로 사라졌고, 현재 바둑TV가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와는 다른 채널이다. 2024년 4월에 누가 직접 문의해본 결과 2024년 하반기에 유튜브 채널 리뉴얼을 진행하면서 재작업 후에 다시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2024년에는 결국 공개되지 않았고 바둑TV 유튜브를 통해 2025년 5월부터 새로운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어디까지나 예정이지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공개될 때까지 로스트 미디어 신세는 유지된다.
-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사라진 방송국들의 대부분의 방송 자료들
그나마 동양방송, 동아방송의 일부 자료들은 보존된 자료가 있어서 JTBC나 동아닷컴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FM방송의 경우는 시보가, 전일방송의 경우에는 방송종료멘트가 남아 있다.- 서해방송의 모든 자료
서해방송과 비슷한 위치였던 전일방송은 전일가요제 2, 3기 자료와 방송종료멘트라도 남아있지만 서해방송은 남아있는 것이 전혀 없다.
- HLKZ-TV의 사실상 모든 방송 자료들
HLKZ-TV의 방송 영상 중 오늘날에 전해지는 건 1956년 9월자 대한뉴스에 보도된 몇 초 가량의 장면이 전부다. 다만 HLKZ-TV가 존재하던 1950년대 중후반의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의 여파로 세계 최악의 최빈국 가운데 하나로 꼽혔던 데다 기성 선진국들도 1950년대 방송자료가 남아 있는 게 드문 마당인 것을 넘어 모든 방송을 생방송으로 진행해 녹화 자료를 남길 수도 없었으니 1959년 2월 2일에 방송국 건물이 화재로 사라진 걸 감안하지 않아도 방송자료가 제대로 보존되는 게 더 이상한 일이긴 하다. 전술했듯이 HLKZ-TV의 폐국으로부터 20년도 더 지난 1980년대 방송자료도 언론통폐합과 방송자료 재활용 때문에 상당수가 유실된 상황이다.
-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의 모든 방송 회차들
공식 홈피 개편으로 모든 에피소드가 사라지기 이전에도 방영 이후 많은 논란을 불렀던 방송들은 다시보기가 불가능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운오리새끼 태형. 간혹 가다가 유튜브에 SBS 공식 채널에서 볼 수 없는 방영분이 올라오기도 하며, 거의 모든 에피소드가 2018년 이전까지만 해도 유튜브에 올라온 적도 있었으나 대부분이 SBS 측의 조치로 인해 로스트 미디어가 되어 버렸다. 단, 페이스북이나 데일리모션 등에 올라간 영상들은 대부분 차단 당하지 않고 그대로 감상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각종 중국계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올려진 경우도 많으나, 이도 소실된 경우가 많다. 전술한 유튜브에 올려진 거의 모든 에피소드의 출처가 유쿠 같은 곳이도 하다. 방송 이후 논란이 큰 에피소드에 등장한 아이는 근황 공개하는 스페셜 에피소드에서도 다시보기할 땐 편집되어서 볼 수 없다. 2020년에 SBS가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모든 에피소드를 삭제한 터라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내에서 일부 회차의 DVD 복사본에 의지해야 하며, 2006, 2008, 2011년에 일부 방송 내용을 추린 단행본 총 3권이 각각 있긴 하나 이마저도 절판된 상태.
- 육군, 우리 육군 공식 뮤직 비디오
다만 이는 처음부터 안 좋은 의미로.
- 기내더빙용 작품들
기내더빙된 작품들은 대부분 기간 한정 판권 계약으로 운용되어 있어서 VOD 같은 서비스를 지원해 주지 않는다. 다만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처럼 기내 더빙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극소수나마 있긴 하다.
- KBS 해외 다큐
일부 방영분[38]의 일반 방영분
KBS에서 2023년부터 KBS 해외 다큐들를 세상의 모든 다큐[39]라는 유튜브 계정에 업로드하고 있는데 동물의 왕국과 달리 내셔널 지오그래픽 제작 다큐 아프가니스탄의 추억 - 사진작가 레자[40]과 미국 히스토리 채널 제작 다큐 세계 박물관 기행를 제외한 모두 영국 BBC 다큐들를 업로드하고 있으며 동물의 왕국처럼 일부 방영분들이 일반 방영분이 아닌 화면 해설 방영분으로 업로드 되었다. 이외에 다른 방영분들은 대부분 화면 해설이 없는 일반 방영분으로 업로드한 것으로 볼 때 이 방영분들의 일반 방영분도 역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해외 다큐인 만큼 타이타닉: 충돌에서 침몰까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밀노트, 미국 히스토리 채널 제작 다큐 세계 박물관 기행 처럼 시간이 좀 지나면 비공개로 전환되어 못 볼수도 있으니 보고 싶은 방영분들이 있다면 빨리 보는게 좋다.[41]
- 외화 더빙(특히 지상파) 상당수 : 애니메이션과 비슷한 이유다. 다만 유명했던 것들은 녹화비디오에서 찾아낸 것들이 유튜브에 업로드되기도 한다.
- 사이버 캅 (테크워로 추정되는 외화의 더빙판)
미국 Syfy 채널에서 방영된 윌리엄 섀트너 著[42] 동명의 SF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미국 드라마로, 드라마가 방영되기전 드라마의 일부 편집본 에피소드가 《테크워》라는 제목 그대로 자막 비디오로 연작인 것처럼 발매되었으나, 이와 별개로 한국어 더빙판 방영이 예정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1990년대 중반 심야시간대 KBS쪽으로 추정되는 방송국에서 《사이버 캅》이라는 제목의 신작 외화가 방영 예정이라는 예고가 있던 것으로 보인다. 특정 편집자의 오기억일 수도 있으나, 국내 방영명부터가 '사이버'가 들어가있고, 테크워가 사이버펑크 작품이며, 테크워 비디오게임판에 등장하는 특유의 기계손 인터페이스(참고 이미지)와 흡사한 장치가 해당 예고편의 스틸에서도 나온 것으로 보아 테크워 드라마의 한국 더빙판일 가능성이 높다. 파일럿으로라도 방영이 되었는지의 여부는 불명.
- 스포츠 방송: 생중계와 녹화가 원활하지 못하던 1960년대까진 중요 대회가 아니고선 선수들의 활약상을 확인할 수 있는 매체는 문서나 라디오 음성 밖에 없었고, 이들보다 여건이 더 열악했던 한국은 말할 것도 없다. 특히 이회택과 차범근 등이 수 놓던 1960~70년대 국내 영상물은 대부분이 녹화되지 못했고 있더라도 소실된 게 절대다수다.
- 1970년대 이전 상당수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중계 영상들
- 1976년 박대통령컵 말레이시아전: 1:4로 패색이 짙은 상황에서 경기 종료 6분을 남기고 차범근이 해트트릭을 몰아치며 팀을 패배로부터 구해낸 국대 역대급 명경기로 회자되지만, 안타깝게도 녹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남아 있는 영상은 유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MBC에서 당시 촬영한 일부 영상이 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019년 북한 원정 경기: 이 경우는 영상 중계가 원활한 2019년임에도 영상 자료가 보존되질 못한 희귀 케이스. 지극히 폐쇄적인 북한 사회와 급속 냉각된 남북 정세가 맞물려 북한 측의 비협조적 태도로 남한 선수단을 향한 홀대도 심했고 중계는 물론 관중석을 텅텅 비우는 증인까지 인멸시켜 '깜깜이 축구'로 논란을 불러일으킨 경기였다.# 남은 건 포메이션과 출전 기록, 카드 수집 등 문서적 자료들과 선수단과 스탭들의 증언 뿐으로서 흙오이로만 남겨질 중계가 되어버린 것. 한편, 경기는 악조건 속에서도 0-0 무승부로 마무리되었고 이후 북한 측의 월드컵 기권으로 해당 경기는 예선 기록으로선 말소되고 친선 경기로 전환되었다.
- 천사랑(EBS)
EBS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 영상이 내려간 이후 유튜브에 오프닝과 엔딩만 남아있다.
- 왜 그리스는 새벽에 축구해요?
발언의 진실 여부와 별개로 해당 발언이 나온것으로 추측되는 SBS '가자 아테네, 이기자 대한민국'이 VOD 서비스조차 되지 않아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 가족놀이터 하늘땅 별땅 : EBS에서 2010년 이전에 방영되었던 프로그램이며, 출발 드림팀처럼 다양한 놀이와 게임을 진행했던 방송이었다. 현재 EBS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이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웹사이트에 검색해 보아도 찾아볼 수가 없다. 이는 너무 오래전에 방영된 데다가 별로 인기가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었던 탓일 수 있다.
- 스타 다이빙 쇼 스플래시 : 다이빙을 소재로 했다보니 방영 전부터 안전불감증에 대한 논란이 끊임없이 있었다. 그러다가 출연진인 이봉원이 안면 함몰로 인한 망막 부상을 당하면서 그 여파로 녹화 중단 사태까지 발생해 결국 공개 4회만에 사실강 폐지되었다.
2.2.1. 필름 유실 [편집]
- 제1회(1951년)~제13회(1962년), 제15회(1964년) NHK 홍백가합전
제13회는 뉴스 촬영 목적으로 녹화된 단편적인 흑백 영상이 있다. 라디오로만 방송한 제1~2회는 물론, TV 방영한 다른 회차의 경우도 남아 있는 영상자료를 찾을 길이 없다. 그래도, 사진도 남아 있지 않은 제1회를 제외하면 당시 무대 사진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접할 수 있다. 제5회(1954년)~제7회(1956년)는 일부가 잘려 있지만 라디오 음성 대부분이 남아 있고 제8회 이후는 라디오 녹음도 남아 있다. 컬러 영상을 기준으로 하면 최초의 컬러 방영분인 제15회의 영상 자료는 흑백, 컬러 모두 유실되었고, 제16회의 컬러 영상 자료는 일부만이 전해지며 이후에도 홍백가합전의 컬러 영상 자료는 소실되거나 일부만 남는 등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다가(물론 이들은 모두 흑백 영상이 온전히 남아 있다) 제23회를 방영한 1972년부터 NHK가 홍백가합전의 VTR 보존을 결정함에 따라 제23회 이후의 방영분은 모두 컬러 영상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 1960년대 초중반 일본의 컬러 방송자료들 대다수
일본은 세계적으로 보면 굉장히 이른 편인 1960년 9월 10일에 컬러방송을 시작했으나[43] 컬러 방송 시작 6년 후인 1966년까지도 컬러 TV 보급률이 0% 대였을 정도로 컬러 TV가 매우 귀했기에 컬러 방송의 빈도도 극히 적었고 방송자료 보존이라는 개념도 미비했던 시절이었으니 대중들에게 공개된 일본의 최초의 컬러 방송 자료는 거의 없다. 물론 1965년에 방영한 제16회 NHK 홍백가합전의 일부는 인터넷에서 컬러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NHK 아카이브에 당시 방영했던 컬러 방송 필름 일부가 보관되어 있다.
- 제1회(1956년), 제9회(1964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회 대회의 경우 라디오 녹음본과 수상곡 공연 영상만이 현존하며 9회 대회는 이마저도 존재하지 않는다.
- Jeopardy!
1964~1975년까지 방영했던 에피소드 중 고작 24편만이 현존한다.
- 돌격! 휴맨!
일종의 공개 코미디와 같은 촬영방식을 사용한 특이한 작품인데, 현재는 모든 에피소드의 필름이 유실되었다. 재방송은 여러 번 했다는데 녹화 장치가 없던 1970년대 초반 작품이라 녹화본도 없다.
- 미라클 자이언츠 도무군
1996년 재방송 이후 홍수로 인해 마스터 테이프가 유실되었다. 현재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은 VHS로 출시되었던 1~10화와 SP 에피소드 뿐으로 인터넷에 도는 이후 에피소드들은 모두 개인이 녹화한 것이다.
-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가 탄생한 원조 콩트
1970년대 중반에 방송했다.
- 전국노래자랑의 1992년 이전 방영분들
1980년대 후반~1992년까지의 방영분은 현재 상반기결선[46]과 연말결선만 남아 있으며, 1980년대 중반 이전으로 가면 상반기결선과 연말결선 방영분조차 얼마 남아 있지 않다. 다만 2001년 방영된 21주년 특집에서 92년 이전 방영분들의 모습이 나오는 것으로 봐서는 이 시점까지는 방영분이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쪽도 일부 1980년대 방송분이 남아 있으나, 당시 모 시청자가 VHS로 녹화했던 것을 기증했던 것으로 보이며 2020년 개인 유튜버 Woober99가 1986년 방영분, 1987년 방영분을 유튜브에 올린적이 있었다.
- 1966~1975년 MBC 10대 가수 청백전, MBC 10대가수 가요제
1971년, 1972년, 1973년 가수왕[50]이었던 남진이 훗날 SBS 트롯신이 떴다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당시 촬영 테이프가 비싸서[51] 기존 테이프에 덧씌워서 녹화하는 방식이 비일비재 했기에 본인의 가수왕 수상 당시 자료가 하나도 남아 있는 게 없다고 한다.
- 쇼텐
1966년에 시작한 일본의 코미디 프로그램인데 1973년 중반기 방송분부터 보존된다.
- SBS 8 뉴스, SBS 뉴스쇼 1992년 1월 1일 ~ 1992년 3월 22일 방영분
국립중앙도서관 사이트 다시보기에서 위 해당기간 뉴스 다시보기가 누락된 상태이며 자사 프로그램인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에서 1992학년도 후기 대학입학 학력고사 문제지 유출 사건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었을때 자사 취재 영상이 아닌 KBS 뉴스9 자료화면으로 대체한 것으로 보아 당시 뉴스영상 및 취재영상이 유실된듯 하다.
- 1960~80년대 문화방송 지역 방송자료들 대다수
남아있는 자료가 대부분 유실되었다. 1960년대~70년대말 지역 라디오 프로그램은 찾아볼 수 없고, 1980년 5월 20일 광주MBC 사옥이 시위로 불타서 자료가 소실되었다. 라디오는 1981년 진주MBC 시보와 1982년 부산MBC 시보, 1987년 충주MBC, 1988년 울산문화방송 시보가 존재하고 있다. TV는 1983년 청주MBC 개국뉴스와 1984년 대구MBC 뉴스쇼, 1986년 청주MBC 해바라기동산, 1986년 대전MBC ID 및 특집 다큐멘터리, 1986년 씨뿌린 사람들[52], 60만의 로타리[53], 1988년 전주MBC ID 및 대학가요제 영상, 백야 김좌진, 사하라에 부는 녹색바람이 있다.[54]
2.2.2. 어린이 드라마 및 특촬물 [편집]
- 전체 에피소드 유실
- 썬더 마스크
동양 에이전시, 히로미 프로덕션이 제작하고 니혼 테레비 계열 민방에서 방영한 TV 특촬 드라마. 권리관계가 엉망으로 꼬여 버린 바람에 재방송이나 2차 매체화조차 되지 못했다. 작품의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
- UFO 대전쟁 싸워라! 레드 타이거
알 수 없는 이유로 재방송과 매체 출시가 없다. 1화와 마지막화만 누군가의 녹화본이 존재한다.
- 일부 에피소드 유실
- 매직키드 마수리 다수 에피소드
방영 당시 KBS 홈페이지에서도 다시보기 서비스를 해줬으나 홈페이지 개편으로 전부 사라졌다. KBS에서 254화부터 완결까지의 영상을 풀어 놓았다. 어떤 사람이 1~14화까지 업로드하였으나 13화만 남기고 모두 삭제되었다. - Settie and Jettie, The Spacekids
일부 에피소드는 존재한다. - 닌자 핫토리군 드라마판 1기
총 26화 중 기존에 보존된 1화와 2010년에 발굴된 14화 외엔 남아 있는 게 없다. - 철완 아톰 실사판
전 65화 중 58화만 남아 있다. - 1983년에 제작된 파일럿
브리트 알크로프트가 훗날 시즌 1 25화에 편성될 'Down the Mine(토마스와 고든)'을 바탕으로 제작한 파일럿으로, 마텔 사내 아카이브에 존재 할 뿐 오랫동안 대중에게 알려진 정보는 정식 방영분의 Down the Mine편에서 파일럿의 장면을 일부 사용 했다는 것과 그 당시 제작된 고든의 모형 사진이 전부 였다. 그러나 시리즈 80주년을 맞이해 마텔에서 일부 장면을 복원해 공식 채널에 공개 했다. - 디젤 기관차들의 반란 구 더빙판
2012년 즈음에 "극장에서 먼저 보자"라는 타이틀로 VOD를 제공했으나 얼마 안 가서 서비스 중단. 이후로도 재더빙판만 출시한다.
- 더빙판만 유실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투니버스 한국 더빙판(파워레인저 다이노썬더)
영상들이 2000년대 후반 즈음까지 동영상 사이트 등지에 존재한 걸로 알려져 있으나 저작권 문제 내지 업로더의 관리 소홀 등 여러 사정으로 인해 영상이 사라졌다. 인터넷에서 저화질의 스크린샷 몇 장만 돌아다니고 있으며 이 때문에 주요 배역을 제외한 나머지 성우진(특히 괴인 담당 성우)을 파악하기가 매우 곤란한 상태다. 내용 자체는 가면라이더와 같이 학산문화사 만화책 '만화로 보는 TV 애니메이션' 레이블로 나온 터라 거기에 의지해야 한다. 2024년 2월 29일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 해당 CD를 갖고 있다고 인증한 유저가 나타났으나# DVD 영상이 손상되었는지 별다른 소식이 없어 여전히 로스트 미디어로 남게 되었다.
2.3. 드라마 [편집]
- 닥터후의 클래식 시즌 중 잃어버린 에피소드들
시즌 1~6까지의 에피소드들 중 현재까지 약 38%나 되는 에피소드가 유실되었는데 전부 합쳐서 97 에피소드다. 영어 위키피디아 doctor who missing episode 문서에 의하면 2020년과 2023년에 개인 수집가들이 소유 중인 에피소드들이 발견되었단 기사가 있는데, 추후 유실된 편수가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다행히 남은 자료들을 건져 음성 파일에 중간 중간 스크린샷을 넣고 자막으로 해설하거나 아예 애니메이션으로 리메이크하는 등의 방식으로 불완전하게나마 전부 복원은 되었다.
- 꽃을 든 남자[56] OST 앨범
영화 자체가 서울관객 21,024명으로 망한 데다 음반마저 음원 사이트에 저작권 문제로 정보가 없는 것은 물론, 오프라인 앨범조차 발매된 지 오래되어 찾아보기도 힘들다. 이 앨범에 수록된 곡 중 하나가 자우림의 데뷔곡인 'Hey Hey Hey'인데 이후 자우림이 정식 데뷔하면서 발매하긴 했으나 이마저도 라이브 공연 당시 편곡한 버전이 그대로 실렸고 데뷔 25주년 앨범에도 실리긴 했지만 역시 편곡된 버전이다 보니 원곡을 듣기 위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컴퓨터로 듣거나 유튜브를 찾아 보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 Adam Adamant Lives!
1967~68년에 BBC1에서 방송된 드라마. 동시기에 방영된 드라마 닥터후와 영화 오스틴 파워 시리즈 등에 영향을 끼쳤다. 총 29화 중 12화가 사라진 상태이며 시즌 1은 16화 중 1화만이 빠진 상태이지만 시즌 2는 13화 중 2개의 에피소드만이 남아 대조된다.
2.3.1. 1950년대 ~ 1960년대 [편집]
- 1, 9, 10, 11, 12, 41, 44화
1화는 필름이 늘어붙어서 복원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파기하여 존재하지 않는다. 그 외의 일부 에피소드는 필름 분실로 볼 수 없다.
- 1960~70년대의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대부분의 작품들이 총편집편만 남아 있으나 예외적으로 1976년작 《바람과 구름과 무지개와》, 1978년작 《황금의 나날》 등은 모든 영상이 온전히 보존되어 있다.
2.3.2. 1970년대 [편집]
70년대 드라마 대부분이 첫회와 마지막 회, 특별한 회차 정도만 남겨 놓고 테이프를 재사용해서 대부분의 회차가 유실되었다.
- 북간도
일제강점기 시절 간도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삶을 다룬 드라마.
- 파도(1973년 KBS 드라마) 드라마 전편이 유실되었다.
- 박주임
1974년 방영된 수사드라마로 남아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
- 강감찬
1973년 KBS 드라마. 드라마 전편이 유실됐으며 대본 정도만 보존되어 있다.
- 민비
MBC에서 방영했던 사극 드라마. 드라마의 전편이 유실되었다.
- 임금님의 첫사랑
1975년 TBC 드라마. 첫회와 마지막회만 남아있다.
- 집념
드라마의 전편이 유실되었다.
- 전우
1977년 5월 14일자 '5인의 사형수'와 6월 11일자 '영원한 포로(상편)', 9월 24일자 '신병 고일병' 등 3편만 구매가 가능.
- 청춘의 덫
마지막회만 남아 있다.
- 안국동 아씨
1979년 MBC 드라마로 160화 중 144, 159, 160화만 남아있다.
- X 수색대
마지막회 방송분 1개가 남아 있다.
2.3.3. 1980년대 [편집]
참고로 KBS는 1989년 가을개편 전까지 대하드라마나 특집극, TV문학관 등 단막극을 제외한 나머지 일일극이나 연속극, 미니시리즈의 경우 첫회 마지막회를 제외한 나머지 회차들은 테이프 돌려쓰기로 유실시킨 일이 잦았다.[61] 반면 MBC의 경우 1981년 제1공화국[62] 방영이후를 기점으로 점차 드라마 전량보관을 조금씩 늘리기 시작하여 1984년 무렵부터는 주간극을 제외한 모든 드라마들의 전량보관을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다.
- 금남의 집
첫회와 마지막회 2회분의 회차만 남아있다.
- 꽃바람
1982년에 방영했음에도 전 회차 유실되었다.
- 순애
전 회차 유실됨.
- 세자매
전 회차 유실됨.
- 보통 사람들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3840 유격대
1회, 55회, 56회만 구매 가능.
- 호랑이 선생님 초기 방영분
- 전원일기
1984년 5월까지의 방영분은 단 8회차만 남아있으며, 그 이후에도 1984년 방영분 1회차와 1992년 방영분 1/3 가량이 유실되었다.
- 한지붕 세가족
100회분 남짓만 남아있다.
- 전설의 고향(1977~1989년)
KBS 소장본 12편(기증본 포함)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6편(이종한 문고)만 현존.
- 청춘행진곡
첫회만 보관되어 있다.
- 고교생 일기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미로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빛과 그림자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그대의 초상
첫회만 보관되어 있다.
- 뜨거운 강
첫회만 보관되어 있다.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한국판 1~2부
애거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로컬라이징한 드라마로 제목을 '제웅도'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1987년 KBS2에서 일요추리극장의 3부작 에피소드로 방영되었다. 배경이 남해의 무인도로 바뀌었으며 결말 부분도 상당히 바뀌었다. 방송국 측에서 원본 필름을 분실해 확인할 수 없으나 증언에 의하면 원작 소설에서 중요한 단서로 부각되는 마더 구스의 노래가 '열 명의 제웅(짚인형)'으로 번안되어 방영되었는데 이게 오래도록 시청자들의 머릿속에 남아 있을 정도로 섬뜩했다. 이 노래를 부른 사람은 가수 전인권이다. 이 드라마를 제작한 연출자가 전인권의 형 전세권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마지막편이 남아 있다.
- 사모곡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애정의 조건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욕망의 문
첫회와 1987년 7월 15일 방영분만 보관되어 있다.
- 푸른 해바라기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함 사세요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꼬치미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순심이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또래와 뚜리
전 회차 유실되었다.
- 사랑의 기쁨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은혜의 땅
첫회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하늘아 하늘아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황금의 탑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풍객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훠어이 훠어이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빨주노초파남보
첫회만 보관되어 있다.
- 세노야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숲은 잠들지 않는다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 회전목마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되어 있다.
2.3.4. 1990년대 ~ 2000년대 [편집]
- 5학년 3반 청개구리들
90년대에 방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첫회와 마지막회만 보관하고 있다. - 우리들의 천국
1기는 총 100회분 중 24회분만 보존되어 있으며 최진실 출연 회차는 달랑 2개밖에 남아있지 않은 상태다. 2기 역시 초반 6회 분량이 유실되었다. - 에어포스
방송 자료 자체는 방송사인 MBC에 계속 보관되어 있는 걸로 추정되나, 요약본을 빼면 전 회차 모두 볼 방법이 없다.
2.4. 게임 [편집]
- 사실상 서비스 종료된 대부분의 게임들. 패키지 게임이라면 판매 중단 이후로도 DRM을 뚫거나 에뮬로 돌리는 식으로라도 영구적으로 남길 수 있으나 온라인 게임은 서버와의 통신이 필수적인 그 특성상 섭종시 영구 유실된다. 설령 클라이언트 파일 자체는 남아있더라도 어차피 실행이 안되니 사실상 로미에 가깝다. 물론 온라인 게임도 일부 케이스는 클라이언트 파일을 크랙하여 싱글(오프라인) 버전이나 프리 서버 형태로나마 보존되는 경우가 있는데, 불법이긴 하더라도 일단 보존이 되었다는 점에선 이 경우엔 로미에서 탈출한 셈.
- 자세한 목록은 분류:서비스 종료된 게임 참고.
- 상당히 많은 수의 피처폰 게임들, 일부 게임들은 뚜비의 피쳐폰게임이나 피쳐폰게임 아카이브에 저장되어 있긴 하다. 일부 스마트폰 게임들 역시 apk나 ipa가 남아있지 않다면 로스트 미디어이다.
- 원조!!냥코 대전쟁
원문은 "元祖!!にゃんこ大戦争", 알려진 첫 버전 기준 2010년에 처음 출시된 냥코 대전쟁의 초창기 피처폰 버전으로, 아직 PONOS의 직원이 9명뿐이던 시절 그 중 3명만으로 만들어졌다. 캐릭터는 노멀 캐릭터 9종만 존재했고, 미래편이나 레전드 스토리는 커녕 통솔력과 3단 진화조차도 존재하지 않던 말 그대로 극초창기. 해당 게임은 2012년 서비스 종료를 결정하면서 사라졌고, 해당 게임이 지원되는 피처폰도 현재는 전부 단종되었다.
이 문단에 등록된 것들 중에서는 제일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게임 인터페이스의 사진, 홍보 사이트와 여러 음악, 최종 스테이지 클리어 영상 등 의외로 많은 자료가 남은 상태.- 쿠만츄 로얄
위 작품의 외전으로, 적 캐릭터들 일부가 변경되고 고양이 대신 곰이 나온다. 음악은 동일, 흥미로운 점은 일본의 도도부현들을 도는 내용인 원조!!냥코 대전쟁과 달리 한국에서 시작해 달에서 끝나는, 즉 현재 세계편의 구성을 따른다.
- 김치 vs 초밥 정식판
대한민국 PC 게임 시장에서 손 꼽을 정도로 희귀한 게임. 2003년 소나기소프트에서 제작한 횡스크롤 STG로 이름만 들으면 한식과 일식을 의인화한 캐릭터들이 나오는 게임 같고, 게임스샷을 보면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것 같지만[63] 근현대 독립투사도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나오는가 하면 최종보스는 일본 역사왜곡 교과서다. 현존하는 디스크는 엄청나게 프리미엄이 붙어있으며, 이 게임을 소장하고 있는 금딱지 티켓발부[64]에서는 소장용으로만 남길 것이며 게임 자체의 아카이브 배포 및 대여는 일절 없을 거라고 밝혔다. 따라서 해당 유튜브 채널에서 그의 Playthrough 영상만 볼수 있을 뿐, 그래서 웬만한 PC 고전 게임들을 모두 수록한 두기의 고전게임마저 끝끝내 포기했다고 밝혔다.[65] 급기야 금딱지 본인마저 대부분의 게임 디스크를 처분하면서, 이 게임마저 처분했다는 것이 밝혀져 게임의 행방이 더 묘연해졌다. 한때 로스트 미디어 마이너 갤러리에서 큰 관심을 받고 샅샅이 수색한 결과, 데모 버전은 발견되었으나[66] 모든 스테이지를 플레이 가능한 온전한 버전은 고전게임계 3대 난제 중 최종보스로 취급받을 만큼 로스트 미디어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 편이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황금 구조대
문서 참조. 2007년 포켓몬코리아에서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홍보용으로 홈페이지에서 배포했던 체험판. 파랑 구조대를 기반으로 한 체험판이지만 2008년경 홈페이지가 폐쇄된 이후론 체험판 파일은 찾을 수 없게 되었고, 스크린샷이나 후기만 인터넷에 간간이 올라와 있는 상태.
- 유한 히어로즈
시발원숭이의 모험 시리즈 관련작.
-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 Ice Carbon Titan X: 2015년 10월 13일에 올라온 초창기 유저 Roadbose의 Ice Carbon 시리즈 마지막 레벨이다. 레벨이 업로드 됐을 당시 많은 인기를 얻지 못하였고, 레벨이 제작자에 의해 삭제되며 로스트 미디어가 되었다.
- 팩큰볼 모바일 이식판
- 퍼니또 아즈로크의 5단계 아즈론
플레이어가 키울 수 있는 아즈론 중 하나를 제외하면, 5단계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희박하다. 이는 아즈로크의 레벨업 시스템의 높은 난도 때문에 그러한 것으로 보인다.
- ffksxms.xcf(스타 유즈맵)
- 초코하나 유령저택
초코하나 시리즈중 최초이자 유일했던 공포게임. 2007년부터 2011년 까지만 서비스 했었다.# 로미갤에서 런처 파일을 뜯어 더미데이터만 추출한 글. 다른 초코하나 시리즈와 달리 게임이 백업되지 않았다. 유일하게 플레이 영상 하나만 남아있다.
- 초코하나 플래시 게임 중 하나인 '크리스마스 대소동'
이 역시도 게임 파일이 영구 유실되었다. #플레이 영상 하나만 세상에 유일하게 존재한다.
- 마법학교 아스티넬
상술했듯 서비스 종료로 로미된 케이스로 보통 게임 자체는 로미되더라도 어느 정도의 플레이 영상이나 각종 스크린샷들로 맵이나 대부분의 콘텐츠는 이미지/동영상 으로도 남는 것에 비해 아스티넬은 이중 꽤 많은 자료가 유실된 상태이다. 동영상으로 남겨진 유일한 자료는 2024년 5월에 올라온 이 영상 하나가 유일.
- 아비스 대모험
아스티넬보다 더 자료 유실이 심각한 케이스로 세상에 남은 스크린샷 자료조차 매우 희귀한 상태이다. 그나마 누군가 음악 파일을 올려서 음악 파일은 로스트 미디어 신세를 간신히 면했다.
- 어느새 교환 일기 한국판 특별한 일기
일본/서양판 니키의 특별한 일기 중 여름 안부 인사와 스페인 수영 대회를 섞은 한국판 전용 오리지널 일기가 배포되었으나 배포 얼마 후 어느새 통신 서비스가 종료되며 기록이 남지 않았다.
- 기타 사라진 비디오 게임들
- 기체와 기판이 모두 유실되어 미리 덤프되지 못한 아케이드 게임들 - 대부분의 세기말 한국산 아류 리듬 게임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게임물관리위원회 심의 자료만 남아 있는 것이 전부다. 그나마 고전 일본산, 미국산 게임들은 플레이하긴 어려우나 기판을 모으는 사람들도 있었기에 그나마 한국보단 상황은 낫다.
- 로케테스트만 하거나 게임 전시회에서 전시만 하고 미발매된 아케이드 게임들 - 상기 '기체와 기판이 모두 유실되어 미리 덤프되지 못한 아케이드 게임들'의 경우에도 포함된다. 로케테스트 실적이 부진하다거나, 회사의 사정이 나쁘면 실제 발매되지 않은 경우도 많다. 그나마 그런 기판 몇몇이 떠돌다 인터넷 경매 등으로 에뮬 개발자의 손에 넘어가 '프로토타입 롬'이 덤프되는 경우는 운이 매우 좋은 경우고, 상당수는 로케테스트 현장에서 찍힌 사진이나 보도자료가 유일하게 남은 시청각 관련 자료인 경우도 많고, 그나마도 없는 경우는 더 많다. 목록으로 정리한 웹 페이지가 있다. #
- 호랑이의 분노 1편
제작자도 분실했기에 스크린샷조차 찾을 수 없다. - 열혈 택시 1탄
- 소스 코드가 유실된 게임
- The Stanley Parable PAX 2013 데모
페니 아케이드 엑스포 2013에서 시연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된 스탠리 패러블의 데모 버전으로, 현재 스팀 등을 통해 공개된 데모 버전의 기반이 되는 작품이다. 8 버튼이 있는 방 대신 PAX 2013 행사 당시 The Stanley Parable 부스의 주변에 부스를 설치했던 Octodad를 홍보하는 방이 나오거나, 플레이어를 자리에서 일어나게 한 뒤 데모를 형편 없이 플레이한 것을 주변사람들에게 사과하게 하는 장면이 존재했다.[67] 엑스포 시연 후 따로 배포된 적이 없기 때문에 제작진들이 따로 공개하는 게 아닌 이상 이 버전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버전을 기반으로 지금의 데모 버전을 만들어 배포했기 때문에 따로 백업을 해두지 않았다면 제작진들에게도 이 데모 버전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이후 일부 EUD 유즈맵
1.18 업데이트로 인해 한때 모든 EUD 유즈맵들이 호환 불가로 전체가 유실된 작품이 된 바 있었다. 이후 블리자드에서 일부 EUD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대부분의 EUD 유즈맵을 다시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으나 GRP를 이용한 유즈맵은 여전히 막혀 있다.
- 월드 게임 서커스에서 구동되었던 EZ2DJ 7th CV 개조판
디렉터 znpfg가 직접 개조한 버전으로, Wind Tales, OOBT 등 당시에는 곡이 추가로 수록된 버전이다.[68] 이후 오락실이 이전하면서 znpfg가 다시 회수하였고 현재는 EZ2AC FNEX가 대신 구동되고 있다.
- WONKA.COM에서 서비스 되었던 게임들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등장인물 윌리 웡카의 공장을 하나의 사이트로 만들었으나, 2000년대 후반 해당 사이트가 제품 홍보 사이트로 바뀌고, 2017년 기반이 되었던 쇼크웨이브도 서비스를 중단한데다가 어도비 플래시와 달리 플레이어조차 없어 실행조차 할 수가 없다. 다만 인터넷에 검색하면 파일 자체는 남아있는데 당시에 사이트 내에서 다운받아서도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는데, 이 때 다운받은 사람들이 올려놓은 것으로 보인다.
2.5. 인터넷 방송, 게시물 [편집]
- DeviantArt(디비언트아트)나 픽시브(pixiv) 마이픽용 공개, 비공개 및 삭제된 작품. 여러 사이트의 탈퇴한 유저들이 남긴 웹코믹들
그냥 찜해 두기만 했다면 볼 수 없고 이전에 저장해 둔 게 있으면 볼 수 있다.
- BEMANI 생방송(가) 2019년 12월 13일 방송분
유튜브와 니코동에 동시 송출하던 중 유튜브 측 송신 오류로 스트리밍이 중단되었다. 니코동은 라이브 종료 후 일정 시점까지만 유료회원에 한해 다시보기를 제공하고 기간이 지나면 삭제하기 때문에 다시 볼 길은 없게 되었다.
- 마인크래프트 관련 자료
- Sophie Kim 하은의 콜라보 논란 해명 영상[70]
- 7차 교육과정 당시 인터넷에 올라와 있던 교육자료들 상당수
- Doodieman[71] 계열 대다수의 GIF들
워낙 장르가 극단적으로 마니악한 지라, 정치적 올바름 철퇴를 얻어맞고 Whack Your Boss 등의 웹사이트 및 계열 앱들이 검열되고 말았으며 대다수 움짤은 영원히 볼 수 없는 것들이 많다. Wayback Machine에 검열 이전 사이트가 백업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일부 페이지만 백업되었고, 백업된 페이지에서도 전혀 로딩이 되지 않는 GIF들도 많다.
2.6. 만화/웹툰 [편집]
웹툰의 경우 종이책과는 달리 사이트 폐쇄, 전송권 만료, 여러 논란으로 삭제되면 정상적인 감상이 불가능해지는데, 단행본 발매나 타 사이트에 재연재하여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단 불법 사이트나 아카이브 등지에 남아있다면 로스트 미디어는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
- 해방 이후~1970년대에 발간된 한국 만화 단행본들
특히 1950~60년대 작품들이 그러한데 당시 이러한 책들은 주로 산성 재생용지(일명 마분지)여서 세월이 지나 삭아 버려 찾기 힘든 경우가 많았으며 작가의 이사 등 각종 개인 사정으로 원고까지 사라져 세상에서 사라진 만화들이 많다.- 정의의 사자 라이파이 시리즈 중에서 잃어버린 단행본들
- 네이버 웹툰의 서비스 종료된 작품들
여러 이유(표절, 판권 만료, 작가의 물의 등) 때문에 네이버 웹툰에서 제공이 중단되어 접근하지 못하는 웹툰이 많다. 분류:네이버 웹툰/서비스 종료 참고.
- 레진코믹스에서 서비스 종료된 작품, 이미 구입해놓았던 사람은 라이브러리에 남아있으나 서비스 될 당시에 구매하지 못한 사람은 다시 볼 방법이 없다.
- 플린트 락 머스킷
계약된 플랫폼마다 이리저리 휘둘러진 작품인데다 해당 작품의 불법 광고 오해로 인해 작가 본인이 억울하게 욕을 먹었으며 그 여파로 작가는 창작 활동에 스트레스를 느껴서 은퇴하고 관련 자료들도 거의 유실되어서 볼 수 없는 웹툰이 되었다.
- 넥슨 채널FUN에 연재되었던 게임 카툰 대다수
2008년부터 넥슨에서 채널FUN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서비스하는 온라인 게임들 기반의 팬만화들을 연재하는 서비스[75]도 제공했는데 2011년 9월 5일에 돌연 종료되면서 전부 내려갔다. 종료 공지 자체는 8월 초에 올라와서 독자들이 백업할 기간이 1달 정도 있었으나 공지엔 카툰들을 새로운 서비스로 이전하겠다고 적혀있어 독자들 상당수가 손 놓고 있다가 서비스 이전 계획이 흐지부지되며 통수를 맞아 버렸다. 그리고 4년 가까이 서비스하면서 연재작이 상당히 많았던 데다 그 중 50~100화가 넘는 장편작들도 상당수라 개인이 백업하기도 버거운 양이었다. 서비스 종료 이후 일부가 넥슨홈에 재연재되었으나 그마저도 2013년 4월 11월에 서비스를 종료한 이후 전부 사라졌다. 지금은 당시 연재작들 중 작가들 본인이 블로그에 따로 올려두거나 누군가가 백업한 작품들만 남아있다. 더욱이 당시 연재작 리스트도 따로 백업된 게 없어 당시 관련 글이나 그 시절 독자들의 기억에만 의존해야 하는 판이라 카온툰 등 유명작들을 제외하면 아예 제목조차 잊혀진 작품이 대다수다.#
- 레진코믹스 작가 부당 대우 논란으로 계약이 해지되어 내려간 수많은 레진코믹스 연재 웹툰들
- 조의 영역 최초 연재분
14화까지 연재된 조석의 짧은 단편 웹툰이었지만 2017년에 조의 영역이 재연재와 동시에 재연재분에 시즌 2가 같이 연재되면서 최초 연재분은 네이버 웹툰 목록에서 사라졌다.
- 본초비담의 웹 연재분. 작가의 문하생 성추행 논란으로 삭제되었다.
- 언제까지 어깨춤을 추게 할 거야
2017년에 나온 인생다반사의 등장인물을 사용한 술 게임 만화인데 현재는 절판된 상태라 구하기 힘들다. 다만, 읽으면서 바로 써먹는 어린이 시리즈의 스핀오프인 2018년 리메이크작은 아직도 남아 있다.
- 여러 문제로 인해 절판된 도서
뉴스에 한때 논란이 됐던 '솔로 강아지', '태경TV 학교탈출'이나[77]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신뢰의 리더십 박근혜, 글 작가인 한예찬의 성추행 피소로 인해 시리즈가 발매 중단, 전량 폐기된 서연이와 마법 시리즈와 같은 사례 등이 있다.
- i-Go
윤서인의 데뷔작으로 아이뉴스24를 통해 연재한 IT 관련 카툰. 세월이 흘러 홈페이지 개편으로 작품이 사라졌다.
- 내 남자친구
표절 논란으로 삭제되었다.
- 고교생활기록부
작가인 김성모의 트레이싱 논란으로 내용 전체가 날아갔고 얼마 안 가 네이버 웹툰에서 그대로 사라졌다. 단, 네이버 시리즈에서 New 고교생활기록부라는 이름으로 트레이싱 장면들을 싹다 수정해서 재연재 되고 있긴 하다.
- 천방지축 오소리
천방지축 하니의 원작 만화. 세월이 흘러 절판되었으며 그나마 한국만화박물관 만화도서관이 유일하게 소장 중이긴 하나, 이마저도 사전 신청 후 최대 3일 뒤에 열람해야 하기에 접근상 장벽이 있다.
- 웹툰 애니멀 팜!, 위치파이와 미드나잇주스
비슷한 시기 주일은 쉽니다, 우주는 쉽니다와 더불어 2015년 전후로 상당한 인기를 끌던 네이버 베스트도전 웹툰이었으나, 2022년경 스레딕에서 벌어진 작가 악플 사건으로 인해 마음에 상처를 받은 작가가 시즌 2이자 유일하게 정식연재가 된 하늘에 핀 동백꽃을 제외한 시즌 1 애니멀 팜!과, 시즌 3 위치파이와 미드나잇주스의 전 회차를 작가가 자진 삭제했다. 그나마 팬들이 보존해 놓은 분량이 있었던 주일은 쉽니다 시리즈와는 다르게, 애니멀 팜 시리즈는 그마저도 없었던 탓에 영원히 볼 수 없게 되었다. 작가 역시 재공개 의사가 일절 없다고 밝혔다.
- 큐링 온라인 패러디 어드벤쳐
큐링 온라인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연재되었던 웹툰. 게임의 서비스 종료와 홈페이지 폐쇄로 소실됐다. 작가에게 문의한 결과 해당 웹툰은 계약 관련해서 저작권이 모두 회사로 넘어가 있는 상태며, 당시 사용된 폰트 저작권 관련된 문제도 있기 때문에 공개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2.7. 광고 [편집]
- 엔카나시온 베차베스(Encarnación Bechaves)
필리핀 마닐라에 위치한 한 평범한 꽃집이며 현재도 운영하고 있다. 로스트 미디어로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1990년대, 이 꽃집이 아주 섬뜩하고 무서운 TV 광고를 내보냈다는 증언이 쏟아졌기 때문. 광고의 배경음악으로는 유명가수 엔야의 Shepherd Moons을 사용했으며,[80] 검은 배경에 여러 사진들이 보여진 다음 마지막으로 마녀 혹은 귀신같이 생긴 여자가 화면을 향해 무섭게 웃고 있는 장면이 있다는 기괴한 광고이다. 무려 2000년부터 인터넷상에 증언이 있었지만 백업이나 아카이브본이 전혀 남아있지 않아 찾아볼 수 없다. 한 유저가 제작한 재현 영상
- 스타매니아 플란더스의개 지하철도2호선 BNB 봄버맨 광고
2004년 이전에 제작된 게임 광고다. 처음에는 실존 미지였으나 2017년부터 인터넷에서 꾸준히 광고와 관련된 질문들##이 발굴되었으며, 스톤에이지 관련 커뮤니티에서 광고 가사를 언급해 놓은 게시글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실제로 방영되었던 광고로 추정된다.[가사] 가사에서 홍보된 게임들의 제작사가 모두 다르며 SKT에서 서비스되었다는 공통점들이 있다. #
당시 공식 웹사이트 기획안으로 보아 형사물 비슷한 작품으로 보이며 주인공 콤비의 콘셉트 아트도 존재하는데, 그림체로 보아 콘셉트 아트는 1999년~2000년 초반 즈음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2003년에 4페이지가 공개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2000년대 즈음에 프리미엄에 가입한 팬들에게만 공개되었고, 그 이후 해당 프리미엄 제도가 폐지되면서 그대로 미공개된 탓에 해당 작품은 일부분을 제외하고 소실되었다.
2.8. 공연, 연극 [편집]
과거 영상을 찍는 기기가 발명되기 전이거나 찍는 게 미흡했던 시절에는 영상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배우들이 연기를 어떻게 했는지에 대해 알기 힘든 것이 많다. 다만 대본은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 모험만화인형극 철완 아톰
영상은 남아 있지 않다.
- 세서미 스트리트
60개 가량의 에피소드가 온전하지 않다.
2.9.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편집]
- 16비트용 Microsoft Internet Explorer 4.01 한국어판
다운로드 페이지까지는 Interner Archive에 남아있지만 파일이 유실되었다. - 최초의 한국어판 윈도우인 한글 윈도우 2.1은 출시 때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해 구입한 사람이 극소수였고, 현재는 단 한 카피만 남아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아이댄스 (iDance)
1999년에 개발된 3D 댄스 강좌 플레이어였다. 당시엔 가수들의 안무를 배울 곳이 마땅찮아 실제 가수들의 댄서를 섭외해 모션 캡쳐를 딴 뒤 이를 3D 캐릭터들이 구간반복, 각도 변경 등을 통해 안무 강좌를 하는 최초의 댄스 커버 컨텐츠였다. 그러나 2005년경 가요계의 트렌드가 댄스 장르에서 발라드/미디움템포로 바뀌고 UCC가 활발해지면서 춤보다는 노래 커버, 그리고 개인이 뮤직비디오나 음악방송을 손쉽게 재시청 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이 조성되면서 스스로 보며 습득해 2012년에 자연스레 한국에서 사업 종료되었고 모든 컨텐츠들이 증발했다. 중국에서 몇 년 더 서비스를 지속하다 중국 사이트 역시 폐업했다. 이 때의 녹화된 아이댄스의 캐릭터 댄스 영상은 노래방 화면에서도 랜덤으로 이용되어 보아 캐릭터의 흔적을 가끔 볼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유저들이 직접 조작할 방법은 영원히 없어졌고 수많은 유료 캐릭터와 무대 세트들은 지금 아예 온라인에 존재하지 않아 볼 수 없다. 설치 클라이언트를 확보했으나 온라인 계정 로그인이 필요해 무용지물이라고 한다. 오리지널 캐릭터 외에도 보아, 이효리, 전혜빈, 7공주 등의 연예인 유료 캐릭터도 존재했으며 새천년 건강체조와 공식 제휴를 맺고 전용 캐릭터와 무대, 음원을 무료 배포하기도 했었다.
- 어도비 플래시 컨텐츠 상당수
먼저 홈페이지 폐쇄 등으로 인해 원본 링크가 끊기면서 극히 일부만 제외하고 모두 유실된 경우가 있다. 과거에 방치된 여러 개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목만 확인할 수 있는 실정이며 살아남은 일부 플래시들은 플래시365, 주전자닷컴 등의 플래시 계열 사이트나 유튜브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주전자닷컴의 경우 2010년부터 2011년까지의 플래시는 복구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2021년부터는 어도비 플래시의 지원이 완전히 중단되면서 모든 플래시 컨텐츠를 보기 힘들지 모른다는 얘기까지 나왔다. 그래도 다행인 점은 소실되는 파일들을 보존하기 위해 만들어진 아카이빙 사이트들(플래시아크 등)로 인해 운영자와 유저들이 수많은 인터넷 사이트에 떠돌던 컨텐츠들을 아카이브하여 많은 작품들이 보존되었다.
- 2010년 1월 9일~2011년 8월 16일 동안 주전자닷컴에 올라온 작품들 중 일부
2016년 4월 1일 사이트 공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2016년 2월에 DB 문제를 해결하는 중 서버 업체 측의 실수로 문제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후 자체적인 복구와 복구 전문 회사를 통한 데이터 복구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살렸지만 위 기간에 올라온 작품들은 실행, 복구가 불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이에 따라 타 사이트에 백업되어 있었거나 제작자가 이를 인지하고 재업로드한 경우를 제외하면 영영 다시 찾을 수 없게 되았다.
- 한/글 1.00
1989년 4월에 발매된 한/글의 최초 발매 버전이지만, 판매된 시기가 극히 짧았고 당시에는 저작권 의식이 미비하던 시절이라 정품 소프트웨어를 구매한다는 개념이 희박했기 때문에 판매량도 극히 적었으며, 게다가 버그가 많아서 출시한지 겨우 2달 만에 버그를 수정한 한/글 1.10이 출시됨과 동시에 기존에 판매되었던 한/글 1.00을 1.10으로 전량 무상으로 교환하면서 판매량이 극히 적었던 한/글 1.00은 대부분이 회수되어 폐기된 것으로 여겨지며, 제작사인 한글과컴퓨터 조차도 한/글 1.00이 완전히 소실되는 바람에 가지고 있지 않다. 심지어 복사본이나 스크린샷 조차도 아예 남아있지 않다. 2015년에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문화재로 등재하기[82] 위해 5천만원의 현상금을 걸고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글 1.00을 현상수배 했으나 2024년 현재까지도 찾지 못하였으며, 그 대신에 1.10 버전을 기증 받아서 소장한다.#
2.10. 문학, 서적, 소설 [편집]
- 사랑의 수고의 결실(Love's Labour's Won[85])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으로, 영국 작가 프랜시스 미어스(Francis Meres)의 저서 『지혜의 보고』(Palladis Tamia: Wits Treasury, 1598)에 나와 있는 셰익스피어 희극 목록에 처음 언급된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이 희극은 전해지지 않는다. 셰익스피어의 희극 사랑의 헛수고(Love's Labour's Lost)의 후속작이거나 현전하는 셰익스피어의 다른 희극의 원제일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 희극은 닥터 후 시즌 3의 The Shakespeare Code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카르데니오라는 유실된 희곡이 있다. 사실 셰익스피어가 직접 작성한 대본의 원본은 현재까지 발견된 것이 하나도 없다. 셰익스피어 연구자 2명이 배우들을 직접 찾아가 일일이 내용을 받아쓰기해서 지금까지 대부분의 희곡들이 남아 있을 수 있었다. 그래서 현재까지 여러 이본들이 전해진다.
- 겐지 이야기 속편
- JVC 코리아에서 판매했던 제품의 사용설명서들
AV-32X1500/AV-36X1500을 제외한 수많은 사용설명서들이 유실되었다. 그나마 유럽·동남아 수출 및 현지생산품의 사용설명서나 내수용 에그제(EXE) 시리즈인 PD-42DH3의 사용설명서를 참고하여 현지화되어 제외된 내용을 유추할 수 있긴 하다.
- 그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판매했던 일부 비인기 제품의 사용설명서들
목록엔 존재하나 사용 설명서를 포함한 일부 자료가 유실되었다.
2.11. 예술, 미술 [편집]
- 그레이엄 서덜랜드의 윈스턴 처칠 초상화
윈스턴 처칠이 영국 총리로 재임할 적인 1954년 11월 30일 처칠의 자신의 80살 생일을 맞이해 영국 의회에서는 합동으로 서덜랜드에게 처칠의 초상화를 그려 달라고 했다. 그런데 이 초상화가 노쇠한 처칠을 너무 현실적으로 묘사했기 때문에 이 작품을 웨스트민스터에서 최초공개를 하자 처칠은 순간적으로 얼음이 되어 버리고 말았다. 하지만 애써 웃으며 "아주 훌륭한 현대미술의 표본"이라며 칭찬했으나 자신이 퇴임할 때 차트웰 하우스로 가지고 갔다. 부인인 클레멘타인 처칠은 자신의 남편이 그 초상화를 볼 때마다 괴로워하는 게 보기 싫어서 비서를 시켜 1978년에 파괴해 버리고 말았다. 이에 서덜랜드는 "처칠 경이 내 초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건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림을 불태우는 건 매우 야만적인 반달리즘적 행동이다."라며 비난했다. 초상화에 대한 이야기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인 더 크라운에도 나온다.
- 1980년대 국가의 탄압으로 폐기된 민중 미술품들
- 민족해방운동사
1988년에 홍성담, 차일환 등 민중화가들이 참여한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건설준비위원회에서 제작한 총 11폭짜리 걸개그림. 동학농민운동부터 5.18 민주화운동 등 여러 민중항쟁을 순차적으로 묘사하였다. 해당 작품 원본은 1989년 한양대 평양축전 출정식 집회 때 백골단들에게 탈취된 후 소각되었고 작가들은 안기부에 구속되었다. 다만 평양축전에 보낸 슬라이드본, 1989년 순회 전시를 위해 제작된 팸플릿이 남아 있다.
2.12. 영화 [편집]
- 배트맨과 드라큘라의 싸움(1967)
필름이 유실되어 찾을 수 없으며 필리핀에서 제작된 짝퉁 영화다.
- 그녀의 강도 친구(Her friend the Bandit)
찰리 채플린 초기 영화로 분명히 당일 극장 개봉 내력이나 비평 등은 남아 있으나 현재까지 그 어떠한 네거티브 필름도 전해져 오지 않는다. 이 외에도 도둑(the Thief)도 로스트 미디어로 남아 있었으나 2014년 미국 미시간 주 한 골동품점에서 네거티브 필름이 발견되었다. 다만 '도둑'의 경우는 사실상 포드 스털링(채플린이 무명 시절이던 당시 유명하던 무성 영화 배우) 주연이며 채플린의 등장 장면은 고작해야 15초. 더군다나 그 유명한 '방랑자' 차림도 아니다.
- 바다의 여인(A Woman of the Sea)
'바다 갈매기(Sea Gulls)'라고도 불렸다. 채플린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미공개 영화로 채플린 관련 영화 중 그녀의 강도 친구와 함께 둘뿐인 로스트 미디어다. 에드나 퍼비언스 주연, 요세프 폰 슈테른베르크 감독. 영화는 완성되었지만 상업적으로 수익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에 채플린은 영화를 개봉하지 않았고 1933년 6월 세금 문제와 얽혀 유일한 네거티브 필름을 소각했다. 당시 채플린은 미국 국세청과 관계가 아주 나빴는데 세금을 깎기 위해 국세청 감독 하에 필름을 없앴다. 1930년대까지는 카피가 남아 있었던 정황이 있으나 현재는 남지 않았다. 퍼비언스 사후 스틸컷 약 50장 정도가 발견되었으며 골드 러시의 여주인공 조지아 헤일[86]이 이 영화를 본 사람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살아 있던 인물인데 그녀의 증언에 따르면 영화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 〈The Mountain Eagle〉
앨프리드 히치콕 장편 영화 중 유일하게 유실된 영화. 독일에서 개봉된 후 영국 배급사 내부에서 좋지 못한 평가를 받으며 개봉되지 않았다가 〈The Lodger(하숙인)〉의 흥행으로 1927년 5월에야 개봉되었는데, 흥행 성적 역시 좋지 못했다. 훗날 히치콕은 이 영화에 대해 '끔찍한 것'이라 회고하며 자신 역시 이 영화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영국 영화 협회(British Film Institute, BFI)에서는 영국 영화 역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유실된 작품을 다시 찾기 위해 BFI 75 Most Wanted라는 리스트를 공개했는데 이 영화는 그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하며 '영화 역사가들의 성배'라고 강조했다.
2.13. 노래 [편집]
- RINGO의 칼라마리 음두
2018년 즈음에 삭제되었다. 작가의 픽시브 아카이브를 타고 들어가면 니코동 링크가 나오는 등 기록이 남아 있으나 영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 상록수의 초기 작품들
'본격 시유 튕기는 노래', '본격 시유 공부하는 노래', '국회' 등 여러 작품이 유일한 창구였던 유튜브에서 비공개로 전환되면서 졸지에 전체가 유실된 로스트 미디어가 됐다.
- Jhnovr의 EP "Mechanism" 수록곡 OS 0.2(Feat. Young B, NO:EL)
2019년 3월 26일 갑작스럽게 모든 음원사이트에서 음원이 내려가고 유튜브에 올라왔던 음원들이 삭제되었다. 존오버의 소속사인 위더플럭의 매니지먼트 팀에 따르면 가사의 논란 여부 때문에 음원 사이트에서 삭제했다고 한다. 정황상 NO:EL의 벌스의 가사가 위더플럭을 탈퇴한 릴체리와 지토모를 디스하는 구절[87]이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유튜브에 올라온 음원들은 삭제되었으나 네이버TV에 올라온 음원은 아직 남아 있다. 여기서 들을 수 있다.
- 시발자동차 광고 CM송 음원과 악보
이 자동차가 나온 시대가 6.25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0년대라 애초에 자동차 자체가 전쟁 당시 미군이 쓰다 버린 윌리스 MB를 해체해 재조립한 것이다. 자동차 또한 시대가 시대인 만큼 1968년 이전에 전부 폐차되어 당시 생산된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현존하는 것들은 모두 나중에 제작한 재현품들이다.
- 장 미셸 자르의 Music for Supermarkets
이 앨범은 장 미셸 자르가 대형 마트를 소재로 한 프랑스의 미술 전람회 주최 측으로부터 배경 음악 제작 의뢰를 받고 제작했는데 당시 장 미셸 자르는 지나친 상업성에 어지간히도 빡쳤는지 예술이란 한 작품으로 끝나는 것이고, 자신의 음악도 예술이라고 말하고는 한 장만 만들겠다면서 경매용이랍시고 진짜로 단 1장의 LP만 찍어낸 뒤 경매가 끝나자마자 손수 마스터 테이프랑 LP 제작용 마스터를 불로 태워버렸다. 그리고 해당 앨범의 경매 수익의 절반은 UNICEF에 기부한 건 덤. 또 마스터 소스 폐기가 끝나자마자 장 미셸 자르 본인은 물론 음반사까지 저작권을 포기하는 바람에 퍼블릭 도메인이 되었다. 대신 수록곡 일부는 원곡은 아니지만 나중에 재작업해 다른 앨범에 들어갔다. 근데 유튜브에 검색해 보면 해당 앨범의 부틀렉이 나오긴 한다. 이건 당연히 부틀렉일 수밖에 없는 게 앞서 말한대로 마스터 소스는 폐기되었고 정품이라고는 변호사의 자문 하에 경매를 통해 판매된 단 한 장밖에 없는 LP가 전부이기 때문에 그나마 남아 있는 거라고는 1983년 LP 경매 시작 전에 라디오 룩셈부르크에서 딱 한 번만 방송한 걸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한 것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장 미셸 자르 역시 라디오 방송 당시 그 방송이 아니면 다신 듣거나 녹음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해적질하라고 말한 적이 있다. 다만 그 라디오 방송이 FM방송도 아니고 음질이 열악한 장파방송[88]이었기에 라디오 녹음본의 음질이 안 좋다.
- 우탱 클랜의 Once Upon a Time in Shaolin
아래에 언급할 장 미셸 자르하고 같은 이유. 경매에 부쳐져 팔렸고 2103년까지 들을 수 없다.[89] 이는 에이즈 관련 약품 폭리 사건으로 이름을 날린 바 있는 마틴 슈크렐리에게 팔렸다. 해당 앨범은 슈크렐리가 다시 이베이를 통해 경매에 내놓으면서 익명의 구매자에게 102만 5100달러에 팔렸는데 정작 슈크렐리가 수감 중이라 어떤 식으로 앨범이 전달될 지가 미지수다. 게다가 새로운 주인 또한 익명을 희망하고 있어 과연 이게 2103년 이전에 파티의 스피커로 나오는 음악을 다시 녹음한 저음질로라도 들을 수 있을까 싶건만 판매가 완전히 완료되지 않은 모양인지 해당 앨범은 2018년 슈크렐리가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같이 압수되었다.# 2021년 뉴욕연방지방법원 측은 비밀리에 이를 플레저다오에 처분,# 2024년 호주 태즈매니아 주 호바트 MONA 미술관에서 30분 분량이 공개되었다.#
- 음원 사이트에 올라온 일부 음원들
- 1990년대 중후반 ~ 2000년대 초반에 발매된 해외 OST 음반들
여러 가지 문제가 있겠지만 저작권 문제가 제일 클 것으로 추정되는데 발매 당시만 하더라도 저작권 개념이 제대로 잡히지 않았을 때라 서비스에 큰 문제가 있었을지 몰라도[91] 2000년대 중반부터 저작권 개념이 잡혀 가는 과정에서 권리사(자)의 요청으로 인해 해당 음원들에 대한 서비스 자체를 막아놓아 이용자들이 듣고 싶어도 들을 수 없게 되었다. 뮬란 애니메이션 OST, 유성화원 OST 등. 심지어 앞서 언급한 음반의 경우에는 해외 가수들뿐만 아니라 각각 박정현과 김연우 등 한국 가수가 부른 노래도 수록되어 있어 각 음원 사이트마다 이들의 노래를 듣고 싶어하는 한국 팬들의 댓글이 줄을 잇는다. 덧붙여서 예로 들면 2000년대 초까지 선곡표 자료가 남아 있는 CBS 음악FM의 신지혜의 영화음악에 올라온 곡들을 보면 이러한 가수가 부른 곡이 종종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92] 즉, 권리사(자)가 방송국에 소장하고 있던 음원을 완전히 회수해간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나마 외국 영상물의 OST는 스포티파이 같은 다국적 음원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고 웬만한 음반들은 국립중앙도서관에 보존돼 있어 디지털 파일 형식으로 열람되지만 전부 관내공개라 접근상 장벽이 있다. -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의 일부 음원들
불후의 명곡의 경우 음원 사이트를 통해 방송 음원들을 감상할 수 있는데 일부 음원들의 경우에는 방송 당시에는 가능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앞선 이유와 마찬가지로 권리사(자)의 요청으로 인해 서비스를 막아놓아 들을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최근에 나온 음원들에는 일부 곡들이 빠져서 발매되는 경우가 많다.
- 웅이네[93] 1집
음원 제작사가 망해버려 음원 사이트에 검색하면 음원 자체는 나오지만 막혀 있어 유튜브를 통해서만 들을 수 있다.
- Brasil os vencedores(Brazil the Victors)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의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의 우승 기념곡으로 만들어진 노래. 아예 결승전이 치러지기도 전에 작곡되어 예행연습까지 마치고 본격적으로 연주할 준비까지 다 해 놓았는데 정작 우루과이가 우승을 하면서 끝내 연주되지 못했다. 현재 인터넷에서 검색해도 '브라질이 우승하면 연주될 예정이었다'는 정보 외에는 찾을 수 없는 것을 보면 실전된 것으로 추측된다.
3. 기타 [편집]
로스트 미디어와 교집합이 있거나, 엄밀히 따져서 로스트 미디어가 아닌 예외 사례들인 경우이다.
3.1. 실존미지(루머 및 도시전설) [편집]
그러한 미디어가 존재했었다는 개인 혹은 다수의 '주장'이나 목격담, 증언이 나왔지만 정작 실체가 확인되지 않아 실존여부가 미지인 경우이다.
로스트 미디어를 주제로 한 도시전설이나 괴담들은 상당수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크리피파스타 중 Lost Episode(유실된 에피소드)라는 게 있다. 괴담의 주요 골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유실되었던 영상물의 에피소드를 벼룩시장이나 창고에서 발견해 보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저주나 안좋은 일에 휘말린다는 내용이다.
로스트 미디어를 주제로 한 도시전설이나 괴담들은 상당수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크리피파스타 중 Lost Episode(유실된 에피소드)라는 게 있다. 괴담의 주요 골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유실되었던 영상물의 에피소드를 벼룩시장이나 창고에서 발견해 보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저주나 안좋은 일에 휘말린다는 내용이다.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하쿠의 전학 내용
개봉 초반에는 하쿠가 치히로가 다니는 학교에 전학오는 내용이 있다는 루머가 있고 실제로 봤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제작진이 부정한 내용+만델라 효과다. - 아이언 킹 최종화
1980년대 부터 2010년대 이전까지 일본의 일부 지역[95]에서만 유행했던 도시전설로, "무슨 시리즈인지는 모르겠는데 울트라맨이 모종의 이유로[96] 괴수와 함께 도쿄를 불바다로 만드는 최종화가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 하지만 특촬 관계자나 특촬 매니아들도 "창고행이 된 미방영 에피소드까지 다 뒤져봐도 그런 건 없었다"며 부정했으며 아마 당시 유행하던 울트라맨과 비슷한 형태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다른 거대히어로 특촬물과 헷갈린 게 아니냐 하는 이야기가 그나마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동시기 울트라맨과 가장 유사한 외형이었던 아이언 킹 역시 최종화는 전혀 다른 내용이었기에 한동안 헛소리 취급을 받았다.
그럼에도 꾸준히 해당 에피소드에 대한 이야기가 돌자 특촬 관계자들이 아주 작정하고 찾아본 바 아이언 킹의 최종화는 원래 전후편 편성의 2부작이었는데 해당 소문이 돌던 지역에서만 방송국 사정에 의해 재방송 때 전편인 아이언 킹 대위기!만 방송하고 후편인 도쿄 대전쟁을 방송하지 못한 채 종료했는데 그 최종화 전편의 내용이 "적 우주인의 최면술에 걸린 아이언 킹이 도시를 공격하는 내용"이었던 것. 결국 우연과 착각이 합쳐져 30년 넘게 존재하지 않는 작품의 로스트 미디어가 도시전설화되었다는 이야기다. 실제 1986년 TV 사이타마 재방영분 녹화본
우연일지 모르나 나중에 울트라맨 베리알이나 울트라맨 트레기어 같은 녀석들이 나와 비슷한 짓거리를 하게 되었다. - 카드캡터 체리 한국판 7화 '체리, 그림도둑 되다' 편
나머지 사례와 달리 기억의 변조에 따른 오류인데 일부 팬들 사이에선 1999년 7월 16일 SBS에서 방영되던 중에 하필이면 탈옥수 신창원 검거 소식이 뉴스 속보로 나오면서 결방됐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한 유저가 TJB 방영 당시 녹화 영상을 공개하면서 사실이 아님을 입증했으며 당시 뉴스를 보면 확실하게 카드캡터 체리의 방영 시간은 오후 6시 15분이었지만, 신창원 검거 속보가 나온 시간은 오후 5시 49분이었다.
3.2. 디지털 자료가 아닌 경우 [편집]
일반적으로 로스트 미디어라 함은 소실된 디지털 자료를 뜻하지만, 용어를 더 넓게 확장해서 지금은 사라져 버린 역사적 물품이나 기술, 문서 등도 전부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 안나 아말리아 대공비 도서관 화재 사고
독일의 문학가이자 철학자로 유명한 요한 볼프강 폰 괴테가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의 대공비 안나 아말리아의 후원을 받아 근무하였던 도서관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화를 피하였지만 이후 수립된 동독 당국의 문화재 관리 방치로 인하여 통일후인 2004년 9월 2일 도서관의 배선 노후화로 인한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장서 5만여권이 내부와 함께 소실되었으며 이중 1만 2500여권은 유일본이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현재는 도서관 내부와 훼손된 도서들이 복원되었고 소실된 유일본들은 사본을 수소문하여 복원중이다. -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대화재
- 지혜의 집 파괴
- 분서갱유
이전까지의 학문서와 이를 집필한 학자들, 독자들까지 깡끄리 제거한 바람에 당대 서적들 대다수가 소실된 사건. - 문화대혁명
원래 중국공산당의 실용주의 파벌이었던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을 비판하기 위한 운동이었지만, 중국의 전근대사를 낡은 것으로 취급해 파괴해 버리는 탓에 근대 중요 서적은 물론이고 자국의 역사마저 소실된 사건.
- 기타 유실되거나 사라진 문서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원본 증명
페르마의 정리는 이후 무려 300여년간 증명되지 않은 채로 있다가 현대인 1997년에 와서야 간신히 증명되었다. 이는 현대수학을 총동원하여 증명되었기 때문에 당시 페르마가 본래 증명한 방법과는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페르마 본인이 자신의 증명을 기록하지 않아 원래의 증명 방법이 무엇이었는지는 영원히 유실되었다. - 조선왕조실록 문종실록 11권
4대 사고 중 전주사고의 문종실록 11권이 표지는 11권이었지만 내용은 9권으로 잘못 들어가 있었다. 그러니까 전주사고에는 11권이 없고, 9권만 2개가 있었다. 달리 말하면 다른 사고 어딘가에는 표지는 9권이지만 내용은 11권인 본이 있었을 거라는 뜻. 그런데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사고들이 불에 타면서 9권 표지를 단 11권 본을 포함한 나머지 문종실록 11권이 모두 사라졌고 임진왜란 이후 5대 사고로 증설하는 과정에서 전주사고 실록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문종실록 11권이 사라진 것을 알았지만 남은 사본이 모두 사라져서 복원이 불가능했다. 이 11권은 음력 1451년 12월부터 1452년 1월까지 1개월 분인데 이 시기 승정원일기도 임진왜란 때 사라지면서 공백기로 남아 있다. - 승정원일기의 인조 1년 이전 부분
- 성경의 원본 문서
- 확인이 불가능한 문서
- 북한 소재 고문서 다수
북한이 세계에서 제일 가는 폐쇄국가며, 그들이 확인했다 쳐도 짐짝 취급 당하고서 경제난으로 자기네도 정리가 미진하다. 당연히 확인을 위해선 남북통일 외에는 뾰족한 수도 없다.
- 기록말살형을 당한 사람의 인생 및 행적.
- 에른스트 폰 슈트로머 남작의 모식표본 화석들
슈트로머 남작의 모식표본 화석 대부분을 뮌헨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었다. 예시로 스피노사우루스, 아이깁토사우루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바하리아사우루스, 스토마토수쿠스, 타메리랍토르 모식표본 화석들은 제2차 세계 대전중 1944년 4월 25~26일간의 연합군의 뮌헨 공습으로 소실되어 스피노사우루스와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새로운 화석이 발굴 될 때까지 여러라지 가설들이 제시되어 뒤죽박죽으로 복원도가 생겼다. 현재 바하리아사우루스는 의문명으로 남겨졌고, 타메리랍토르, 스토마토수쿠스와 아이깁토사우루스 역시 현재까지 새로운 화석이 발굴되지 않아 연구가 요원해졌다. - 청원 두루봉 동굴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노현리에 위치한 청원 두루봉 동굴은 한국사에서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으로서 이곳에서 털코뿔소, 동굴곰, 파키크로쿠타, 동굴하이에나, 오록스, 메갈로케로스, 동굴사자, 매머드, 짧은꼬리원숭이를 비롯한 한반도에서 멸종된 포유류 화석들과 흥수아이의 유골, 구석기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한반도는 약산성을 띄고 있는 토양이지만 이렇게 많은 화석과 유물들이 보존 될 수 있었던 것은 두루봉 동굴이 석회암 동굴이기 때문인데 아이러니하게도 이 동굴이 광산 산업 때문에 더이상의 보존시킬 수 없었고, 굴착과 침식으로 인한 붕괴위험과 폐광에 이으러서야 침수 시켜 현재로선 출입과 연구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 기록을 남기지 않고 사라진 언어
- 탐라어
고대 한국어~중세 한국어에서 갈라져 나온 제주어와는 별개의 언어로 한국어족의 언어인지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어족에 속하는 언어인지 그것도 아니면 고립어인지 알려지지 않은 상태인데 인명을 제외하면 자료가 전무하다.
- 시장에서 단종되고 거의/전부 폐기된 몇몇 물건들
이는 시장 질서 및 소비자들의 소비 행태, 인식과도 관련이 있다. '계획적 구식화' 문서도 참고할 만하고, '소품' 문서에도 몇몇 사례가 있다.- 자동차로는 대표적으로 현대자동차에서 최초로 독자개발한 소형 상용차인 현대 HD1000이 있는데 현재 국내에 남아있는 차량이 단 한 대도 없다. 현대자동차의 초창기 기술로 만든 상용차라 품질이 조악한 것도 있었으며 전두환 정부의 자동차공업 통합조치로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약 4년간의 짧은 기간 동안 생산된 것도 한 몫을 했다. 그래서 미디어물에서 5.18 민주화운동 배경에 쓰이던 구급차를 실차로 찾을 수 없어서 영화 화려한 휴가에는 기아 하이 베스타가, 택시운전사에는 기아 봉고가 대신 쓰였다.
- 내셔널의류의 로고
- 누가 처음에 말했는지 알려지지 않은 명언
-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 분류:없어진 존재 문서 참고.
3.3. 알 수 없는 미디어 [편집]
일반적으로 로스트 미디어는 해당 미디어에 대한 정보(작품 명 등)가 존재하나 실제 자료가 없는 케이스라면, 알 수 없는 미디어는 반대로 자료가 존재하나 해당 미디어에 대한 정보(출처 등)를 알 수 없는 경우이다. 엄밀히 따져서 로스트 미디어는 아니지만 이곳에 서술한다. 다만 일부 자료만 존재할 경우, 풀버전에 한에서는 로스트 미디어가 맞다.
- 로스트웨이브/목록 중 '곡 정보 유실'에 속하는 모든 곡.
- CJ미디어 캣우먼 캡쳐 사진 (전체 풀영상 한정 로스트 미디어)
캡쳐 사진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 정보가 전부 유실된 상태라 2007년 전후에 만들어졌다는 것과 몇몇 어렴풋한 목격담 외에는 출처를 전혀 알 수 없다. XTM 혹은 슈퍼액션 채널의 자사 채널 소개 광고라는 설, 영화 불법복제 근절 공익광고라는 설, 영화 소개나 시상식 등 영화 관련 프로그램의 중간 삽입 영상이라는 설, 당시 케이블TV에서 제공되던 한국산 캣우먼 패러디 성인물이라는 설, 영상의 여성은 한국인이 아닌 동아시아계 미국인이며 당시 수입되어 방영되던 북미산 패러디 성인 코미디일 것이라는 설 등 다양한 주장이 있다. 이 인물이 모델/에로 배우인 전신해라는 주장이 있으나 귀의 형태와 가슴 크기가 다르다며 반박하는 주장도 있어 여전히 미궁에 빠진 상태이다.
- 제프 더 킬러의 원본 이미지
3.4. 재발견 [편집]
로스트 미디어 였다가 재발견 되어 로스트 미디어가 아니게된 경우들이다.
3.5. 최초 공개 이후 비공개 처리 [편집]
3.6.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경우 [편집]
로스트 미디어는 한때 공개되었다 유실된 경우만을 뜻하므로, 대중에게 공개되지도 않은 경우는 로스트 미디어가 아니다.
3.7. 공개 전 공식적으로 취소된 경우 [편집]
공개 전 공식적으로 취소되어, 영원히 다시 공개되지 않게된 경우, 마찬가지로 공개된적 조차 없으면 로스트 미디어가 아니다.
[1] 최소 한번 공개되었다가 유실된게 로스트 미디어이다. 처음부터 갖고있지도 않았았던 물건을 잃어버렸다(Lost)고 표현하지는 않다는걸 생각해보자.[2] 공식적인 취소 소식은 없으나, 기약없이 공개되지 않는 경우.[3] 공식적인 취소 소식이 난 경우.[4] 현재는 많은 에피소드가 발굴되었다.[5] 일부 스페셜 에피소드.[6] 캐릭온이 뽀로로에게 샤워기를 던지고 포비가 "어, 역시 망치였어."라고 말하는 장면, 이 댓글을 참고하면 최소 2021년에도 삭제된 상태였던 것으로 추정.[7] 정확한 과정을 설명하자면 기존 뽀팝TV 채널 판매 → 신규 뽀팝TV 채널 개설 후 뽀로로 장난감 애니 폐지 → 신규 뽀팝TV 채널(키키) 판매 후 기존 채널과 신규 채널 모든 영상 삭제 순. 사실 채널 매매는 약관 위반이지만 주 시청층이 어린 아이들인데다가 3년을 넘게 잠적하여 이미 다 떠났기 때문에 별다른 논란이 되지는 않았다.[8] 예를 들면 프로그램 자체가 오래되었다거나 제작사 도산, 저작권 문제가 걸려 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 수 있다.[9] 타밀어 버전은 일부 남아 있다.[10] 사실 이 애니가 프랑스와 합작했다는 이야기가 이것 때문에 돌았으나 엄연히 순수 한국 애니메이션 업체인 툰집에서 만들어진 애니다. 아무래도 파일럿판 디자인이 외국 업체에서 만든 느낌이 심하게 나서 그런 오해가 생긴 듯하다.[11] 구더빙의 경우 대사들을 전부 직역해서 대화도 꽤 어색한 편이었고 말장난도 잘 살리지 못했다.[12] 근데 19화가 현재 유실되어 버렸다.[13] MMPR은 방영되지 않은 2기의 에피소드가 유일하게 한편이 VHS로 발매되어 남아있고 SPD는 슈퍼전대 시리즈의 데카레인저가 방영되었을 뿐 각기 다른 두 회사가 일부만 발매한 해적판이 돌아다니는지라 로스트미디어라고 보긴 힘들다. 물론 MMRP의 KBS 방영본은 로스트미디어가 맞다.[14] 5기 후반에서 6기만 녹음했고 일부도 안된 회차도 존재한다.[15] 어둠의 경로라해도 일부 에피소드만 있기에 1~ 4기는 없다.[16] 정확한 스토리는 복희가 미국에서 귀국해 돼지고릴라와 코로스케가 마중을 나왔다. 그런데 복희가 들고 온 캐리어가 누군가의 캐리어랑 뒤바뀌었는데 거기에는 권총이 들어 있었다. 권총과 함께 돈다발 캐리어 주인이 조폭일거라 생각했지만, 돈다발이 가짜였기에 총도 가짜일 것으로 판단했다. 그렇게 들뜬 돼지고릴라는 삐죽이한테 장난삼아 쐈는데 실제 그게 '실탄' 처럼 혈흔이 나와서 놀랐으나 주인이 해명하길 물감탄이었다거나, 혈흔 포함 다양한 것이 문제가 있었기에 한국은 미방영된 것으로 보인다.[17] 한때 일본에서는 2022년에 밈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18] 다만 46화는 조금 애매한 게 유튜브에 기존의 일판 영상에 더빙 음성을 싱크에 맞춰서 업로드한 영상이 있다.[19] 이는 옥탑방의 문제아들 11화를 통해 영상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0] 넷상에서는 5화가 유실되었다고 나와있으나 사실 아야노코지 야이토의 첫 등장인 3화가 유실되었다.[21] 주연 성우진은 같으나 조단역을 김태웅, 김영훈, 성유진 3명이 전부 돌려막기했다.[22] 무궁화 위성 외에도 종합 및 중계유선방송으로도 송출을 했는데 대부분 업체에서 해당 채널을 모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알고있더라도 국민감정을 이유로 송출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23] 다만 8편은 음질이 나쁘다.[24] 그나마 KBS판 일부 에피는 DVD로 나왔다.[25] 정확히는 미더빙된 화의 자막판도 같이 올라가 있었다.[26] '육가네 6쌍둥이', '오소마츠 군'이라고 검색해봐도 오소마츠 상 관련물이 대부분이다.[27] 25화까지 올라왔다가 내려간 PLAYYANI 채널과 다른 채널이다.[28] VHS 비디오로 대영팬더에서 풍운아란 제목으로 출시됐다.[29] VHS 비디오 출시판의 경우에는 클럽박스 시절에 올라왔던 영상이나 개인팬의 영상등이 남아있으나 투니버스 재더빙판의 경우엔 주제가 영상들을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는다.[30] 예시로 소개된 애니메이션들은 최소한 성우진이라도 캐스팅뱅크에 등록됐지만 로봇전사 아리엘은 성우진 정보조차 없는 로스트 미디어다.[31] 브라보키즈 공식 웹사이트 '알쏭달쏭 퀴즈타임' 페이지[32] 현재는 챔프티비가 대원방송과 통합되고, 홈페이지도 폐쇄됐다. 그래서 현재는 사실상 볼 수가 없다.[33] 2015년 5월 26일 방송분부터 홈페이지에서 다시보기가 4주간 제공된 적이 있다.[34] 간혹 유튜브 등지에서 개인이나 홈쇼핑 납품기업이 녹화해 놓은 자료가 올라오기는 한다.[35] 실제로 타 방송분과는 다르게 공연 시작 전 흥을 돋구기 위한 오프닝 공연이 잘리지 않고 그대로 포함되어 있고 무대 촬영 원본이 일부 유실된 상태인지 코너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관객들만 계속 비추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쉽게 말해 무대 쪽 촬영본 역시 대부분 유실 된 것. 1시간짜리 영상에서 오프닝 공연만 40분이고 실제 방송용 코너는 20분 정도의 분량만 나오고 사바나의 아침을 비롯한 당시 인기 코너들의 대부분이 나오지 않고 끝나버린다.[36] 까다로운 수수료와 관련이 있다. 4 문단 참고.[37] KBS 방영 당시 제목 마지막 회색곰을 찾아서, 고릴라: 불투명한 미래, 치암부라 협곡의 침팬지들, 호랑이 원정대, 부탄의 야생 호랑이, 히말라야 호랑이를 찾아서, 위기의 사자들, 강아지들의 놀라운 세계 - 마법 같은 여정, 신비의 섬 마다가스카르, 고릴라 가족 2부, 특선 다큐로 방영된 프로즌 플래닛 7부 등 11개 영국 BBC 다큐들과 2010년 프랑스 키파루(Kifaru) 제작 다큐 작은 몸집으로 살아가기와 2022년에 방영된 독일 닥나이츠(Doclights) 제작 다큐 온화한 거구 해우 등 13개 다큐들. 그리고 이 중에서 위기의 사자들과 강아지들의 놀라운 세계 - 마법 같은 여정는 현재 비공개로 전환되어 볼수 없다.[38] 지구라는 이름의 기계, 빅뱅 이전에 무슨이 있었나, 위성 고고학, 고대 이집트를 발견하다 2부, 신(新)북극 사람들, 지구와 우주 4부, 멕시코만 원유 유출, 87일 간의 기록, 윌리엄 왕자와 약혼녀 케이트 등 7개 영국 BBC 다큐들과 내셔널 지오그래픽 제작 다큐 아프가니스탄의 추억 - 사진작가 레자 등 8개 다큐들. 그리고 이 중에서 멕시코만 원유 유출, 87일 간의 기록과 윌리엄 왕자와 약혼녀 케이트는 현재 비공개로 전환되어 볼수 없다.[39] 유튜브 계정 이름이 2011년 부터 KBS 해외 다큐들를 방영하고 있는 세상의 모든 다큐이지만 그렇다고 세상의 모든 다큐의 방영분들 뿐만 아닌 과거에 방영되었던 세계걸작 다큐멘터리, 해외걸작선, KBS 특선, KBS 다큐 월드, 글로벌 다큐멘터리, 해외걸작 다큐, 특선 다큐 등의 방영분들도 업로드 하고 있고 심지어 동물의 왕국의 방영분도 업로드한 적이 있다.[40] 이 다큐는 현재 KBS 세계는 지금 유튜브 계정에 있다.[41] 이는 위의 동물의 왕국 유튜브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심지어 다른 KBS 유튜브 계정에도 시간이 지난 직후에 비공개로 전환된 프로그램들과 클립 영상들이 꽤 있는데 세상의 모든 다큐와 동물의 왕국처럼 해외 다큐인 경우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더 빨리 비공개 전환될 가능성이 높으니 볼 수 있을 때 빨리 보는 게 좋다. 비공개 및 삭제된 이후에도 계속 보고 싶다면 그 전에 유튜브 동영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으로 사용해서 다운 받아야 한다.[42] 실제로는 론 굴라드라는 SF 작가가 섀트너로부터 대필을 받았다.[43] 1960년대 초까지 정규 컬러 방송을 실시하던 나라는 일본을 제외하면 미국밖에 없었다. 사실 일본이 컬러 방송을 실시하기 이전에 쿠바, 소련도 잠깐이나마 컬러 방송을 하긴 했으나 이들은 수도 인근에 한해 방송한 시험방송 정도에 머물렀으며 미국도 1960년대 초중반까지 컬러 TV가 귀중품 취급받았으니 이들 나라에서 컬러 방송을 본 사람도 극히 적었다.[44] 1985년, 1987~1991년 연말결산, 1987~1990년 상반기 결산[45] 4월 20일~5월 18일 방영분. 그마저도 화질이 매우 안 좋기 때문에 릴레이 방송시에는 생략된다.[46] 전국노래자랑에서 상반기결선은 2013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47] 1984년 이전에 나온 유머 1번지 코너 중에 김형곤과 엄용수가 바둑관련 콩트 장면이 담긴 코너가 유튜브에 올라온 적 있었다. 이 동영상을 올린 유저는 재미교포인데, 이 동영상을 KBS에 기증한다고 밝히고 나서 동영상을 내렸는데, 그 이후에 대해서는 불명.[48] 2020년에 유튜버 Woober99가 1985년 ~ 1987년 방영된 일부회차들을 올려놓았으나 채널 폭파 후 데일리모션에 올려놓았으며 또 다른 개인 유튜버 UTT는 주병진이 출연하였던 1983년 4회 방영분까지 올려놓았으나 역시 KBS 미디어 측 신고로 채널이 폭파되었다.[49] 그나마 남아 있는 영상은 오재미의 전역 에피소드, 이상운의 최선임 시절 영상 극히 일부 정도이며 코너의 시작인 김한국 전입은 물론 이상운 전역, 한정호·김종국·성낙앙·양종철·이영남의 전입 장면은 아예 볼 수가 없으며 2019년 출연자였던 이경래가 소장한 양종철 병장 시절 일부 회차들의 녹화본을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렸으나 저작권 문제로 전부 내려갔다.[50] 현재로 치자면 대상 수상자.[51] 1970년대 기준으로 촬영용 비디오 테이프 가격은 15만원으로, 직장인 평균 월급 12만원을 상회할 정도로 비쌌다.[52] 대구문화방송의 자체 텔레비전 프로그램[53] 울산문화방송의 자체 텔레비전 프로그램[54] 대전문화방송의 자체 TV 프로그램[55] 헤이세이 2기 대부분이 고화질로 보존이 되어있으면서 OTT에 풀려있는 상태이고 오즈의 이전작인 더블은 최근 재공개까지 하면서 고화질로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으나, 오즈는 아직 그런 게 없는 상태로 되어있다.[56] 1997년 개봉한 영화로 MBC가 기획, 자회사 MBC프로덕션이 제작, 미도영화사가 배급을 각각 맡았으며 소망화장품이 캐릭터 상품계약 판권을 사서 화장품 브랜드를 런칭하기도 했다. 드라마 PD였던 황인뢰 감독이 연출했고 김승우와 심혜진이 출연했다.(KMDb 항목)[57] 다만 당시 HLKZ-TV의 방송 방식을 생각하면 처음부터 방송자료를 남길 수 없는 상황이긴 했다.[58] 드라마는 모든 필름이 손실되었고, 영화는 필름은 있지만 손상이 심해 관람이 불가능하다.[59] 자료가 남아있는 207회는 제외. 대만 CTS에 녹화 테이프를 보냈다는 기사가 있긴 하나 당시 일본조차 테이프 재활용을 했던 판이니 현 시점에서는 테이프 재활용으로 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60] 역시 최종회만 남아 있지만 다행히도 10초를 제외하면 모두 온전하다.[61] 물론 1981년 자회사인 한국방송사업단을 세워 당시 방영되었던 드라마 등 방송자료들을 복사판매하였으나 당시 유호 작가가 이사장으로 있던 한국방송작가협회가 방송자료 복사판매를 중지하고 복사판매시 판매대금 10%를 작가에게 지급하라는 내용으로 소송을 걸어 승소하여 1985년 대법원에서 판결이 확정되면서 방송자료 전량보관 및 복사판매 등에 대하여 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추정되며 이 소송만 아니였으면 1989년이 아닌 1982년부터 KBS의 방송자료 전량보관이 본격화되었을 것이다.[62] 대한민국 최초로 본격적으로 전량보관하기 시작한 장편드라마다.[63] 대부분의 등장 캐릭터가 조선시대 인물 아니면 전국시대풍 왜군들이다.[64] 과거 주얼CD 포맷으로 발매된 (주로 아동 소비자를 노린) B급 국산 게임들의 플레이영상을 올린다.[65] 다만 끈을 놓지는 않았는지, 카페에서는 여전히 이 자료에 대해 수소문하고 있다.[66] 실제로 이 게임은 학교 컴퓨터실에서 나눠준 게임으로 유명한데, 거기 있는 게임들이 다 데모 버전이라 이거라도 남은 갓이다.[67] 두 장면들은 스팀을 통해 배포된 데모 버전에 Octodad와 관련된 이미지 한 장이 숨겨져 있거나, Game Grumps에게 제공되었던 데모 버전에서 플레이중이던 멤버들에게 당장 사과하라는 장면이 나오는 식으로 일부분이 재사용 되었다.[68] 해당 곡들은 시간이 지나고 EZ2DJ AEIC에서 정식 수록됐다.[69] 사진으로는 자료가 남아 있으나, 원본 게시글이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작성되었는지는 불명이다. 자세한 점은 문서 참조.[70] 전문 스크립트만 발굴된 상황이다.[71] 본명은 Tom Winkler로 전직 심슨 가족 애니메이터였다. 다만 1990년대 이후 스카톨로지 성향으로 결국 해고되었다. 현재 그의 신규 작품은 후술할 검열 문제로 이메일 구독을 해야만 볼 수 있다.[72] 특히 야후판 조이라이드의 경우 2011년 이후 연재분은 윤서인의 네이버 블로그에 남아 있으나 그 이전의 것은 몇몇 회차를 빼고 볼 수 없으며, 2008년 정식 연재 이전 개인 홈페이지에 게재된 것도 마찬가지이다. 더욱이 프리미엄 조선(조선일보) 연재판과는 달리 단행본으로 나오지 않았다.[73] 이말년씨리즈, 무한동력, 너에게 하고 싶은 말[74] 라미레코드, 물론 해당 작품이 설정을 공유(태모신교 시리즈)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75] 네이버 웹툰과 비슷하게 도전카툰으로 시작하여 반응이 좋으면 정식 연재작이 되는 식이었으며 원고료도 받는 형식이었다.# [76] 생존일지, 오늘도 달콤하세요 등[77] 그나마 전자는 문제가 되는 부분을 따로 삭제해 재발매되었으나 후자는 대원키즈 쪽에서 "향후 재발매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못 박아 두었다.[78] 유료연재분까지 포함하면 5화까지다. 참고로 미리보기 결제 분은 서비스 종료 후 순차적으로 전액 환불 될 예정이다.[79] 2007년 챔프TV 홈페이지에 자신이 분명 이벤트에 당첨되었는데 배송되어 온 책 중 귀곡산장이 누락되어 있었다고 항의하는 글이 올라왔다. 다만 오래된 글이라 글쓴이를 찾기도 힘들 것이고 챔프 측에서는 귀곡산장이 아닌 다른 상품을 보내주겠다고 댓글을 남겼기에 글쓴이를 찾는다고 쳐도 귀곡산장 편을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80] 2008년에 한 유튜브 영상이 올라왔는데, 그 영상에도 이 증언이 있어 신빙성이 매우 높다.[가사] ㅋㅋㅋ
마일냥君 2004.07.29 15:15
스타~ 매니아 플란다스의개 지하철도2호선비앤비범버맨
-_-;
많이들어봤졈?[82] 2013년에 한/글 초기 버전의 문화재 등재를 했던 바가 있었으나, 등재 이후에 최초 버전인 1.00 버전이 아닌 이후에 나온 1.20 버전으로 확인되면서 등재가 취소된 해프닝도 있었다. 한/글 1.20은 당시에도 꽤나 판매되었고 현재도 적지 않은 제품들이 개인 소장으로 남아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83] 업종변경, 폐업 등으로 파일 제공을 중단한 경우가 많아 JY CUSTOM의 Ntrip 등으로 교체되거나 아예 내비게이션과 오디오 어셈블리를 들어내고 타사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가 늘고있어 파일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구하더라도 일부 기종용 파일이 누락된 경우가 대부분이다.[84] 남아 있는 것은 글씨 연습으로 쓰인 너덜너덜한 종이 쪼가리 하나뿐이라고 한다.[85] Love's Labour's Lost가 아니다. 이쪽은 '사랑의 헛수고'라고 번역되며 셰익스피어의 1597년 최초 공연 작품으로 현재 대본이 남아 있다.[86] 1905-1985. 촉망받던 여배우였으나 유성영화 도입 후 목소리가 캐릭터와 맞지 않다는 이유로 사라진 배우.[87] WDP on a next level, 튄 돼지 새끼 잡아 도축하고 Lil motherfuckin' what the fuck? 1년 뒤 정상에서 만나자구, ah[88] 흔히 AM 라디오라고 하는 중파방송과 동일한 변조방식.[89] 다만 소유자의 권한에 따라 공적인 장소에서 음악을 틀 수는 있다.[90]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해도 쉽지 않다. 무슨 말이냐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소멸시효가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이기 때문이다. 만일 이장우가 그런 저작권자의 먹튀를 알고 있었다면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도 있었으나 음반을 발표한 지 10년이 지난 2005년에 소멸시효가 완성되었기 때문에 저작권자에게 손해배상을 받아낼 수 없는 상황이다.[91] 실제로 2000년대 초반까지 음원 사이트를 이용할 때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무료로 음악의 전곡을 듣거나 다운이 가능했다. 심지어 라디오 방송국 프로그램 다시듣기도 가능했다.[92] 다만 2024년 4월부로 CBS가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25년 정도 된 선곡표 목록이 일부 유실되었다.[93] 웃찾사 웅이 아버지로 인기를 끈 이용진, 이진호, 양세찬이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94] 이상하게도 촬영분이 폐기되었다는데 캡처본이 있고 출처에 개쌉소리라고 적혀 있다.[95] 특히 사이타마 지역[96] 세뇌를 당했다던가, 인간에게 환멸을 느꼈다던가, 본색을 드러냈다던가 등등[97] 설립자는 권명광이며 구 권명광디자인연구소-서울그라픽센터.[98] 춘천은 국립 합창단 공연 포스터에 로고가 있고, 제주는 블로그에 배터리 팩을 찍은 사진이 올려져 있고, 원주, 충주는 LP 음반 스티커에 로고가 있다. 1986년 5월 이전까지 영문 로고는 Banco를 약간 수정하였고 약간 굵은 상태이다. 한글 로고는 "ㅎ"의 "ㅇ" 부분이 안테나를 형상화 하였으나 일부는 획이 거칠고 부분이 다른 상태이다.[99] 2006년 당시 챔프에서 도라에몽 36시간 연속 방영을 한다는 기사를 썼다.
마일냥君 2004.07.29 15:15
스타~ 매니아 플란다스의개 지하철도2호선비앤비범버맨
-_-;
많이들어봤졈?[82] 2013년에 한/글 초기 버전의 문화재 등재를 했던 바가 있었으나, 등재 이후에 최초 버전인 1.00 버전이 아닌 이후에 나온 1.20 버전으로 확인되면서 등재가 취소된 해프닝도 있었다. 한/글 1.20은 당시에도 꽤나 판매되었고 현재도 적지 않은 제품들이 개인 소장으로 남아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83] 업종변경, 폐업 등으로 파일 제공을 중단한 경우가 많아 JY CUSTOM의 Ntrip 등으로 교체되거나 아예 내비게이션과 오디오 어셈블리를 들어내고 타사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가 늘고있어 파일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구하더라도 일부 기종용 파일이 누락된 경우가 대부분이다.[84] 남아 있는 것은 글씨 연습으로 쓰인 너덜너덜한 종이 쪼가리 하나뿐이라고 한다.[85] Love's Labour's Lost가 아니다. 이쪽은 '사랑의 헛수고'라고 번역되며 셰익스피어의 1597년 최초 공연 작품으로 현재 대본이 남아 있다.[86] 1905-1985. 촉망받던 여배우였으나 유성영화 도입 후 목소리가 캐릭터와 맞지 않다는 이유로 사라진 배우.[87] WDP on a next level, 튄 돼지 새끼 잡아 도축하고 Lil motherfuckin' what the fuck? 1년 뒤 정상에서 만나자구, ah[88] 흔히 AM 라디오라고 하는 중파방송과 동일한 변조방식.[89] 다만 소유자의 권한에 따라 공적인 장소에서 음악을 틀 수는 있다.[90]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해도 쉽지 않다. 무슨 말이냐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소멸시효가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이기 때문이다. 만일 이장우가 그런 저작권자의 먹튀를 알고 있었다면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도 있었으나 음반을 발표한 지 10년이 지난 2005년에 소멸시효가 완성되었기 때문에 저작권자에게 손해배상을 받아낼 수 없는 상황이다.[91] 실제로 2000년대 초반까지 음원 사이트를 이용할 때 돈을 지불하지 않고도 무료로 음악의 전곡을 듣거나 다운이 가능했다. 심지어 라디오 방송국 프로그램 다시듣기도 가능했다.[92] 다만 2024년 4월부로 CBS가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25년 정도 된 선곡표 목록이 일부 유실되었다.[93] 웃찾사 웅이 아버지로 인기를 끈 이용진, 이진호, 양세찬이 결성한 프로젝트 그룹.[94] 이상하게도 촬영분이 폐기되었다는데 캡처본이 있고 출처에 개쌉소리라고 적혀 있다.[95] 특히 사이타마 지역[96] 세뇌를 당했다던가, 인간에게 환멸을 느꼈다던가, 본색을 드러냈다던가 등등[97] 설립자는 권명광이며 구 권명광디자인연구소-서울그라픽센터.[98] 춘천은 국립 합창단 공연 포스터에 로고가 있고, 제주는 블로그에 배터리 팩을 찍은 사진이 올려져 있고, 원주, 충주는 LP 음반 스티커에 로고가 있다. 1986년 5월 이전까지 영문 로고는 Banco를 약간 수정하였고 약간 굵은 상태이다. 한글 로고는 "ㅎ"의 "ㅇ" 부분이 안테나를 형상화 하였으나 일부는 획이 거칠고 부분이 다른 상태이다.[99] 2006년 당시 챔프에서 도라에몽 36시간 연속 방영을 한다는 기사를 썼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